My Sister's Keeper (Paperback, Reprint)
조디 피콜트 지음 / Pocket Books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주인공은 언니 케이트의 불치병을 치료하기 위해 맞춤형 아이로 태어난 안나이다. 안나는 언니 케이트를 위해 자신의 몸 안에 있는 장기를 수차례 기증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안나는 더 이상 케이트에게 자신의 몸을 줄 수 없다고 선언하면서 화목했던 가족 간의 갈등이 시작된다. 일단 가족구성원의 측면에서 어머니는 안나가 언니에게 장기를 제공하는 것은 가족 구성원으로써 당연히 할 일이라고 생각하고, 아버지의 입장은 중립적이다. 케이트의 입장은 정확하지 않으며, 안나의 입장은 겉으로 드러난 태도는 장기제공의 반대이다. 물론 안나의 태도는 케이트가 부탁한 일이었다고 소설의 후반부에 밝혀지게 된다.

 우리는 이 소설이 단순히 슬프지만 아름다운 이야기만을 담고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 책은 윤리적인 측면에서 맞춤형 아기가 주제가 된다. 맞춤형 아기는 과연 허용되야 하는 것일까? 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 다른 생명을 임의적으로 만들어도 되는 것일까? 물론 뛰어난 아이를 가지기 위해 맞춤형 아기를 만드는 사상은 절대로 허용되서는 안 되는 사상이라 여겨진다. 자신들이 예쁜 아이를 한 명 더 가지고 싶다는 이유로 아이를 만드는 것은 전혀 관여할 문제가 아니지만, 오로지 자신의 아이를 위해서 다른 아이를 만드는 것이 허용되야 하는 것일까? 그 문제는 그들 부부만의 문제일까? 이 소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게 만든다. 개인적인 생각을 말해보자면 이성적으로는 맞춤형 아기는 인간의 존엄성 측면에서 인간은 그 자체만으로도 존중을 받아야 하는데 맞춤형 아기는 그 인간의 존엄성을 해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다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안건은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우리가 만약에 사랑하는 사람과 행복한 결혼을 하고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소중한 아이를 가졌다고 가정해보자. 근데 그 아이가 불치병에 걸렸다. 오로지 그 아이를 살리기 위해서는 그 아이와 유전자 배열이 일치하는 아이가 필요한데, 그 방법은 맞춤형 아기이다. 여러분이라면 이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할 수 있겠는가? 인권의 측면에서 보면 맞춤형 아기는 단순히 윤리적으로 허용해서는 안 될 일이다. 하지만 부모의 측면에서 보면은 자신의 아이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마 내가 그 상황에 처해있다면 내 선택도 안나의 부모님과 같았으리라 생각한다.

우리가 실제 생활에서 맞춤형 아기를 쉽게 볼 수 없지만  이 소설을 통해 우리는 맞춤형 아이에 대해서 인권적인 측면과 또 맞춤형 아기를 필요로 하는 입장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