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장 지글러라는 유엔 식량 특별 조사관이 굶주린 사람들이 넘쳐사는 세계에 관하여 아들과의 대화의 형식으로 쓴 글이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장 지글러의 아들이 정확하게 이런 의문들을 제기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장 지글러가 의문과 대답으로 형식을 짜면 책을 읽는 사람들이 더욱 더 친근하게 책을 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서술한 것 같다.  

그렇다면 진짜 내용으로 들어가보자.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게 되는 것일까? 식량이 세계를 먹이기에 부족함이 없는데도 말이다. 책에서는 이유가 정말 여러가지로 설명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핵심은 난민들을 구제하고 싶어도 그 정부가 난민들 구제를 오히려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책을 보지 않은 사람들은 이게 무슨 소리인가 하는 의문점이 들 것이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은 유엔이나 미국과 같은 선진국들이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가난한 나라에게 식량을 배급하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빈민국가가 이것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구호차원에서 인물들을 파견하면 그 쪽에서 반대세력이 나와 그 인물들을 사살한다. 지금 현재 빈민을 구제중인 유엔 측 사람들도 목숨을 담보로 잡히고 거기서 빈민구제를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다른 선진국의 경우에 자국의 국민들이 목숨을 잃을 가능성이 다분한데, 어떻게 쉽게 구호가 가능하겠는가? 세계의 평화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피부로 와닿는것은 자국민의 보호일 것이다. 그러므로 구호를 실시하기에 빈민국가의 저항이 문제라는 것이다.  

 또한 자연도태설도 이러한 세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자연도태설이란, 만약 먹을 것이 풍족하면 인구들은 자연히 증가해서 인간들이 살 곳이 점점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데, 이 기아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들이 많기에 지구가 현재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일견 타당성이 있어 보이지만 터무니 없는 소리이다. 나 또한 자연도태설과 비슷한 이론을 하나 알고 있다. 그것은 인구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지구가 스스로 질병을 만들어내 인구를 줄인다는 얘기이다. 이러한 이론들은 근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간들이 죽어나가는 것을 방관하고 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무엇보다도 중요시 여겨야 할 것은 인간이기 때문이다.  

지금 내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5초에 한명의 어린이가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다.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내 생각으로는 일단 사람들이 이러한 현실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나도 이 책을 읽기전까지는 TV에서 이런 얘기를 얼핏 듣기만 했지 전혀 중요한 내용으로 치부하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TV에서 으래 이런 이야기들이 나오는거지 하고 넘어간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들에 대해 조금의 관심이라도 가지는 것이 세계의 굶주림을 벗어날 수 있는 해결책의 첫걸음이라 생각된다. 또한 빈민국가의 지도층에게도 변화가 필요하다. 빈민국가들의 지도층은 이 기아를 정치적 무기로써 사용한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자신만 배부르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건가? 지도층에게 변화가 있다면 훨씬 많은 빈민들이 구제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 나온 기아로 인해 겪는 고통을 해소하는 방법도 어느 한 가지 방법에만 국한 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면 더욱 나은 세상으로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부터라도 구호의 손길을 내밀어 보는 것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