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로에서 만난 즐거운 생물학 - 산책을 사랑한 생물학자의 일상과 과학을 넘나드는 유쾌한 기록 살림청소년 융합형 수학 과학 총서 25
위르겐 브라터 지음, 안미라 옮김 / 살림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 때부터 쭉 좋아라 하는 과목이 비록 손에 꼽을 정도지만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과학인데, 그 중에서도 특히 생물학을 좋아한다.

생물학에서는 내 몸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 건지, 어떻게 해서 움직이는

건지를 알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물학에 관심이 많은 내게 운수좋게도

생물학을 쉬우면서도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이 발견됐다.

그 책이 바로 '산책로에서 만난 즐거운 생물학'이다.

 

'산책로에서 만난 즐거운 생물학'은 위르겐 브라터라는 생물 선생님이 자신의

애완강아지 '시나'를 산책시키는 산책로에서 발견한 신비하고도 재밌는 생물학을

계절에 따라 기술한 책이다. 지금 다시 책의 내용을 생각해보세요 그러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10월달 것이다. 이 달에는 잎에 단풍이 지는 이유와 잎이 떨어지는

이유, 버섯이 식물이 아닌 이유, 신경에 대한 이야기 등등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그 중에서 잎이 떨어지는 이유가 가장 인상 깊었다.

 

잎이 떨어지는 이유는 많이 있었다. 그 중 몇 가지를 말하자면, 첫 번째는 잎자루와

가지 사이에 액즙을 점점 마르게 하는 코르크 같은 층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 나무는 날씨가 추워지면 땅 속에서 수분을 덜 빨아들이게 한다.

Why? 만약 나무가 겨울에도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한다면 낮은 온도 때문에 물이 얼게 되고

물이 얼면 부피가 커져 나무가 팽창하게 돼, 결국은 펑~ 하고 터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을에 나뭇잎이 떨어짐으로써 얻는 혜택이 있다고 한다. 눈이 쌓이는 부분이 적어

눈의 무게로 인해 나뭇가지가 부러질 일이 없고, 바닥에 떨어진 잎들은 따뜻한 보호층을

형성해 뿌리가 얼지 않게 한다. 마지막으로 나뭇잎들이 떨어지면서 한 해동안 쌓인 유해

물질과 오염 물질이 나무에서 떨어져 나간다는 것이다.

 

중학교 때, 광합성을 배우면서 선생님으로부터 가을에 나뭇잎이 떨어지는 이유를 들어본

적이 있다. 그러나, 그 때는 이 책처럼 자세한 원인이나 그로인한 혜택을 알지는 못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다 읽고 난 다음에 웬지 모르게 마음이 뿌듯했고, 자부심이 느껴졌다. 

'난 다른 애들보다 더 깊이 생물학에 대해 알고 있어.'

먼 훗날,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 생활을 하면 생물학을 전공하지 않는 이상, 만날 기회는 없게

된다. 그 때, 이 책을 읽는다면 옛 추억도 떠올리면서 지식도 쌓을 수 있다. 

그래서 지금 난 이 책을 갖게 됐다는 게 너무나도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