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갤런 크렌츠 지음, 김문호 옮김 / 지호 / 1998년 11월
평점 :
절판


예수가 죽기 전 제자들과 함께한 “마지막 만찬” 그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당시 로마에서는 침대에 누워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실제 상황도 그러했을 것이다. 그러나 후대 사람들이 누워 있는 것은 당시 경건한 분위기와 맞지 않다고 생각해 의자에서 앉아 먹는 모습으로 바꾸어 그려 놓았다. 사람의 몸, 자세에 선입견이 적용된 사례다.

우리의 몸, 자세는 생리적 현상에 의해 정해진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우리의 몸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우리의 몸을 편안하게 해 준다고 생각하기 쉬운 의자 역시 예외가 아니다. 의자는 예로부터 신분의 상징이었고, 현대사회에서도 회사 내 간부급 임원의 의자는 보통의자보다 크고 장식이 많아 우리는 한 눈에 누구 의자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의자에 앉는 것은 예상만큼 편한 자세가 결코 아니다. 사람의 몸은 일어서기, 걷기, 뛰기, 눕기, 쪼그려 앉기, 책상다리하고 앉기 등 다양한 자세를 하게 되어 있다. 의자에 앉는 자세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졌고 어느 순간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우리가 심리적으로 편안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의자는 인간공학적으로 볼 때 몸을 오히려 망친다.

등받이가 곡선으로 있는 의자, 발이 땅에 닿지 않는 의자, 그물망 같은 의자가 척추를 휘게 하거나 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인체 장기들을 한쪽으로 쏠리게 한다. 오늘날 하루종일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 노동은 실제로 무거운 짐을 나르는 노동보다 더 위험하다. 사무직 노동자들은 각종 관절 뼈 결림, VDT 증후군 등을 호소하고 있다.

또 의자는 우리의 자세를 정함으로써 우리 생활을 통제한다. 학교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제자리에 앉아라” “자리에서 조용히 해라”는 말은 아이들의 행동반경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수단이 된다. 왜 공공의 공간에서 쉴 때 누워서 쉴 수 없는 것일까?

저자는 자신의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의자에 앉거나 바닥에 앉거나 심지어 누울 수 있는 선택권을 준다고 한다. 공부를 잘 하려면 자세를 바로 해야 한다고 하지만 지금의 학교, 도서관의 책상과 의자는 몸을 망치기 십상이다. 차라리 누워 책을 보거나 일 할 수 있는 것이 덜 피로할 수 있다. 저자는 대학원 시절 침대식 의자에서 공부한 덕을 보았다 한다.

저자인 갤런 크런츠 건축사회학 교수는 사람의 몸에 관심을 가지고 몸을 위한 디자인을 하자고 주장한다. 그녀는 의자를 매개로 한 서양문명을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마루바닥, 온돌 등 동양의 바닥문화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인으로서 우리가 우리 것을 소중히 할 줄 모른체 그저 서양의 것만 따른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이 든다. 일반 가정에서도 거실에 소파 놓는 것을 기본으로 여기니 말이다.

* 이 책은 내게 좀 어려웠다. 특히 의자 디자인의 역사는 사전지식 없이 이해하기 어려워 보이고, 가끔 번역투의 긴 문장은 나를 혼돈스럽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