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우울
쉬사사 지음, 박미진 옮김 / SISO / 2017년 10월
평점 :
절판


[안녕, 우울]은 우울증에 걸린 한 사람을 비추어 준다. 주인공 중시시는 25살의 대학생으로 생각이 깊고 겁 많고 소심하다고 생각하며 혼자있기를 두려워하고 이유도 모른채 감정이 드러난다. 그런 주인공에 대해 남자친구는 그녀에게 '우울증'을 선고한다.

[안녕, 우울]에서는 우울증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들이 전개된다. 우울증을 아는 것부터 시작해서 경험자와 대화하고 현대의학과 중의학의 여러 병원을 찾아가지만 누구도 그녀의 우울증을 해결하지 못했고, 종교, 문학과 만나보고 운동도 해보지만 잘 해결되지 않았고, 결국 연인과의 갈등이 심해지면서 가출을 하고 이별을 결심하기에 이른다. 갈등의 최고조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몰아붙였던 가족을 이해하게 되고 연인의 진심으로 인해 서로를 이해함으로써 사랑을 찾고 자신의 병을 해결한다.

'우울증'은 이제 현대사회에서 '병'으로 취급되고 있다. 단순히 무기력해지는 것만이 아니라 목표를 잃어버리고 무의미한 생활을 하게 되어 마음과 몸을 피폐하게 만든다. '우울'이 위험한 감정인건 알지만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모르는, 마치 출구 없는 어두운 터널과 같다. 주인공 중시시도 많은 방법을 써봤지만 어느것도 속시원하게 해결하지 못했다. 중의학읕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해야 함을 깨닫고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을 통해 고독과 무력을 대하는 법을 알게 되지만 그것은 단지 우울증을 '이해'할 뿐이지,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

작가의 책에는 그 해결책을 '가까운 사람'에게서 찾고있다. 주인공은 자신이 밑바닥까지 떨어졌을 때 자신에게 상처를 주었던 가족을 찾게 되고 연인을 찾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들을 이해하고, 자기 자신도 이해하게 된다. "마음의 병은 주로 사람에게서 얻지만, 해결하는 것도 사람이다." 서로의 진심을 말하지 못했고, 이해하지 않은 채 서로에게 바라는게 많았기에 오해하게 되고, 마음에 상처가 되었고 갈등이 생겨나 서로가 마음의 병을 얻게 된다. 그렇지만 서로가 진심을 전하게 되고 자신이 몰랐던 그 사람의 모습과 자신에 대한 성찰이 우울증을 해결할 방법으로 보고있다.

인간관계가 너무나 경직되어 있고 서로를 믿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지금의 사회는 우울에 빠지기 쉽다. 그렇기에 서로에게 큰 목소리로 자신의 진심을 전할 수 있는 가까운 사람이야 말로 우울을 극복하는데 가장 필요한 사람이고 우울과 "안녕"이라 말하며 작별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