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는 길이 꽃길이다 - 누가 뭐라고 해도
손미나 지음 / 한빛비즈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다 읽고나서 목차를 다시 훑어봤다. 일반적 자기개발서를 읽기 전후에 하는 행동인데 신기하게 이 책에도 통했다. 제목만 봐도 내용이 스쳐갔다. 물론 자기계발서로 분류되어 있기도 하지만 나에겐 오히려 여행에세이로 읽혔던 멀티북이라 말하고 싶다.


이름이란 뭘까? 그 사람을 그렇게 부르기로 우리끼리 정한 약속? 책은 S와 미나라는 두 명의 각기 다른 사람이 번갈아 쓴 것 같기도, 또는 한 사람이지만 어떤 이들에겐 S로, 어떤 이들에겐 미나로 비치는 한 사람이 쓴 이야기일수도 있다. 한때 개그프로에서 인기를 얻었던 '다중이'라는 캐릭터가 있다. S와 미나처럼 나도 내속에 얼마나 많은 내가 존재할까? 우리는 누구나 마음속에 여러 명의 자신이 존재한다. 어쩌면 여행이란 외로움에 몸부림치며 외부에서만 찾던 이유를 지구 반대편까지 가는 수고스러움을 감수하더라도 '내 안의 또 다른 나'라는 친구를 만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닐까? 우린 가끔 나의 이름이나 사람들 눈에 비친 나를 흉내내며 사는게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며 파스칼의 명언을 인용해본다.

많은 유명인들이 그렇듯 한때의 인기에 기대 유행처럼 책을 내는 유형들을 봤다. 'S와 미나'의 이야기를 읽기전 손미나라는 사람도 요란한 여행기와 자기포장이 아닐까 하고 기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S가 됐든 미나가 됐든 그녀의 이름과 별개로 참 다정하고 따뜻한 사람이 주는 메세지들이 포근했다. 자신을 멋지게 포장하고 자랑한다는 느낌이 아닌 남과 비교하지 말고 각자 자기를 들여다보라는 메세지를 보내기 위한 한 권의 편지 같기도 했다.

영화를 보다보면 주인공을 위해 소모되는 캐릭터들이 꼭 있고 그게 혹시 나는 아닐까하는 생각에 씁쓸해질 때가 많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불편함이 없었다. 누구 하나 책을 쓰기 위해 추억속 그들을 소환해 소모시키는 인물이 없었다. 하모니카가 이어준 무인도 소년과의 우정, 칠순의 나이에 여행가이드를 하는 가비할머니, 아주 특별한 포르투갈 여행 지도를 선물한 로사 아줌마, 빈민가의 영화배우, 키가 2미터라 한국 이름이 '이미터'가 된 하와이의 유쾌한 가이드 등등... 목차만 봐도 내용과 사람들이 생생하게 떠오르는 이유가 바로 그래서였던것 같다.

조만간 그녀의 전작들도 읽게 될것 같다. 어떤 재미난 여행과 보석같은 친구들을 자랑할지 기대된다. 이런 자랑은 바람직하다. 덧붙인다면 세상 부러운거 없지만 아빠와 주고받은 몇백통의 손편지는 부러웠다.

행여나 돈이 없고 시간이 없어 저렇게 해외로 또는 여행 자체가 힘들다며 배부른 소리 한다할지 모르겠다. 진부할지 모르지만 일상이 여행이 되는 독서를 권하고 싶다. 그녀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자기자신에게 귀기울이게 되고 일상으로의 여행을 경험하게 될것이다. 삶이란 여행을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S가 됐든 미나가 됐든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아는 그녀는 분명, 지구에 여행온 게 틀림없다. 우리에게 이 메세지를 전달하려고 말이다. "당신은 이미 존재자체로 위대합니다. 당신은 충분히 멋진 사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