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초공간 - 평행우주, 시간왜곡, 10차원 세계로 떠나는 과학 오디세이
미치오 가쿠 지음, 박병철 옮김 / 김영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차원 관련 이론이 굉장히 신기했고
마치 SF나 우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속 한 장면을 보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만들어 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멍 때리기의 기적 - 생각을 멈추고 여유를 찾는 뇌의 비밀
스리니바산 필레이 지음, 안기순 옮김 / 김영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집중'에 지친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책! 뇌도 휴식이 필요하고 지나친 집중 즉, 과잉집중의 결과가 부정적이고 무기력한 자신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여러 실험과 사례를 통해들려줍니다. 낮잠, 운동, 낙서, 산책, 계획재조정, 공상 등에 계획적으로 시간을 할애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해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셰이프 오브 워터
기예르모 델 토로.대니얼 크라우스 지음, 김문주 옮김 / 온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속에서는 미처 다루지 못한 여러 캐릭터의 심리와 배경이 궁금하다면 읽어보세요. 특히 악역이라고 볼 수있는 스트릭랜드의 속내와 행보가 눈에 들어 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석복 - 누릴 복을 아껴라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인석복 惜福이란 단어를 처음 들어봅니다.
복을 아낀다는 뜻으로, 옛사람들은 아껴둔 복을 저축해 두었다 두고두고 함께 나누는 것을 현명하다 여겼습니다.
참 좋은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책에서 행복이라는 것은 강도强度가 아니라 빈도頻度를 높이는 쪽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했는데
생존을 위해 인간은 제아무리 강도가 쎈 행복을 취해도 그 만족이 찰나에 불과하게 진화해 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일상의 작은 만족들이 모아 꾸준히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는 것이죠.


<석복>은 저자 정민이 옛 고전 속에서 찾은 귀한 글들을 모아
네 글자로 된 100편의 글을 한데 묶어 저술한 4번째 책입니다.


솔직히 작가 소개만 보고도 대단하다고 생각한 것이 고전 관련 책만 30권 정도를 집필했더군요.

그 중에 <한시미학산책>을 소장하고 있는데


이 책도 그렇고 <석복>도 그렇고 고전 속에서 좋은 글을 쏙쏙 골라 발췌했고
구성이나 저자의 설명도 정성이 가득합니다.


정말 이렇게 좋은 글을 꼭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는 의지가 엿보인달까요?고전 속의 지혜도 얻고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소동파, 박제가, 송강 정철 등의 고전 명문을 읽는 즐거움도 누릴 수 있는 책.


최근에 읽은 박영규의 <조선 명저 기행>과 더불어 인문고전 책으로 두고두고 곁에 두고 자주 볼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빛으로 살다 별빛으로 다시 오리라 - 벽담 학명스님을 기록하다
벽담 학명 지음, 이재호 정리 / CPN(씨피엔)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툴지 않은 삶이 어디 있을까?
우리는 그렇게 서툴게 흔들리면서 살아온 것이다.
부처님도 그랬을 테고, 나도 그랬으며, 모든 인격자들도 그러할 것이리라.
우리가 늘 정진해야 하는 이유다.


지금보다 더 가부장적이던 때에
돌연 출가를 하겠다는 귀한 막내아들
가족들도 충격이었지만 본인도 무척 힘들었을 결정이다.



<별빛으로 살다 별빛으로 다시 오리라>는
학명 스님이 진솔한 문체로 써내려간 자신의 이야기이다.



그래서 그런지 약간 문장이 만연체蔓衍體 라서 눈에  쏙쏙 들어오지는 않지만
스님의 이야기 속에 스며든 생소한 불교적인 단어나 관념에 대해 들어보는 것은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