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 연습 : 내 아이를 바라는 대로 키우는
신규진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4년 2월
평점 :
난 주로 제목을 보고 책을 고른다.
'내아이를 바라는대로키우는 부모연습'을 보고 난 어떤 새로운 답을 기대했었는지도 모르겠다.
아이들의 날카로우리만큼 솔직한 언어로 표현된 파괴된 가정의 실태는 끔찍했다.
"요새 아이들은 버릇이 없어. 저 혼자 큰 줄알고 부모알기를 우습게 알지. 이기적이고 오만해."
어쩜 나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사회가 변하면서 아이들도 변했을거라고.
하지만, 정자와 난자가 만나 아이를 만드는 섭리는 변함이 없고, 그 아이에게 '도리도리까꿍'부터 첫인사 '안녕하세요'까지 가르치는 것도 여전히 부모다. 그러니 아이들 인성에 대한 책임 또한 그아이를 길러낸 가정에 있는 것.
내가 바라는대로 아이를 키운다. 내 아이가 변화하길 바란다.
하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내 아이도 부모에게 무언가를 바라고 있을건데, 그건 과한 욕심이라고
치부될때가 많다. 아이들이 바라는게 명품 옷, 해외여행이 아니라는걸 이책을 읽고 알았다. 마찬가지로 아이들에게 상처가 되는 일도 아버지가 타는 낡은 중고차나, 고기가 빠진 초라한 저녁밥상이 아니었다. 관심,표현,공감,가족애 그런 사소한 것들이야말로 아이의 입을 열게하고 부모 옆에 같이 앉고싶어하게만드는 힘이었다.
'넌 어려서 몰라도되'. '넌 다컸으니까 좀 알아서 하면 안되겠니'
우리가 의식없이 하는 말들이 아이들에게 날아가 마음을 햘퀴었을것이다. 아물지않은 자리에 다시 패이는 상처는 더 쓰라린 법. 치유 받을 곳을 잃은 마음은 방황하다 딱딱해지기를 반복하고..
그렇게 내몰아지는 게아닐까?
사회가 각박해져가니까 _우리가 조금 덜 웃고, 조금씩 마음의 문을 닫는건 어쩔수 없는거라고 - 시대를 살아가는 사회원으로써 아이들도 어차피 이해해야하는거라고
방관했던건 아닐까. 차가운 사회로 내몰리기 전에, 가정이라는 둥지에서 충분히 마음을 덥히고
스스로 따뜻한 열을 낼수있다면 그아이 인생을 달라지지않을까.
뭔가 한 고리부터 잘못된 악순환일꺼라는 생각이든다.
나또한 피해자 이므로 가정에서 만큼은 짜증을 내어놓고 위로 받고싶다는 생각을 우리 부모 자신도 하고있는것이다. 자식들을 내가 책임져야하는 숙제나, 내 행동거지를 감시하고있는 감독으로 보지말고, 내 인생에 활력을 주고 웃음과 애교로 내 마음을 녹이는 위안의 존재로 여길 필요가있다. 서로가 서로를 보듬어주면서 으쌰으쌰하면 더 돈독해지는게 가족 아닐까?
아이들은 결코 부모를 괴롭히기위해 나를 찾아온 게 아니다.
나또한 그아이를 외롭게 만드려고 태어나게 한 게 아니다.
이걸 알면서도 자꾸 잊혀지는게 문제.
잊혀지려 할때마다 한 번씩 다시 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