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두리 로켓 고스트 변두리 로켓
이케이도 준 지음, 김은모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쿠다제작소의 주요 거래처 중 하나인 (주)야마타니. 그곳에 새로운 사장이 부임하면서 외부자재 비용을 전면 재검토하라는 지시에 따라 쓰쿠다제작소가 납품하는 성능 위주의 농기계 엔진은 저가 전략을 펼치는 '다이달로스'에 밀려 공급 중단의 위기를 맞는다. 업친데 덮친격으로 데이코쿠중공업 사장의 야심작이었던 로켓 발사, 일명 '스타더스트 프로젝트'는 경영 악화로 인해 전면 백지화가 기정 사실화되면서, 대형 로켓엔진의 밸브시스템을 공급하는 쓰쿠다제작소는 안정적인 수익원을 잃을 위기에 놓인다.

어떠한 위기에서도 반드시 돌파구를 찾아내는 사장 쓰쿠다는 새로운 판로 개척을 위해 트랙터의 트랜스미션에 주목하고, 트랜스미션 제작에 필요한 주요 부품인 밸브로 새로운 시장 진입을 꾀한다. 그렇게 (주)야마타니를 찾아 자신들의 새로운 계획을 설명하지만, 트랜스미션 자체를 외주로 돌릴 예정이라는 말과 함께 현재 유력한 외주업체로 거론되는 '기어 고스트'를 소개받는다. 창업한지 5년 밖에 안된 작은 업체이지만, 완전 경쟁입찰을 모토로 하는 '기어고스트'의 어떠한 신념에 매료된 쓰쿠다 사장은 결국 밸브 입찰에 참여할 기회를 얻는다. 경쟁사는 대형 제조업체인 오모리 밸브. 오직 성능에만 집중했던 쓰쿠다제작소가 이번에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에 집중했고, 그 결과 입찰에서 오모리밸브를 제치고 납품 승인을 받게 된다. 경쟁에서의 승리에 도취된 것도 잠시, '기어 고스트'를 둘러싼 거대한 음모가 숨통을 조여오는데...

----‐--------------------
이번 <변두리 로켓 : 고스트>에서 유독 눈에 들어온 건 기업(또는 기업인)의 신념이었다. 기업 환경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그 신념을 지키는 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끝까지 신념을 지키는 모습이 그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아닐까? 구조조정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직원을 둘도 없는 재산이라 생각하고 최우선적으로 지키려 하는 기업도 있다. 오로지 자본주의 논리에 따라 이익과 손해만 따지며 도의적인 부분은 전혀 개의치 않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사업을 인간관계를 맺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각하며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기업이 있다. 온갖 권모술수가 난무하고 추악함이 도사린 비즈니스 세계에서 '도의를 굽히지 않고 당당하게 사람의 도리에 맞는 길을 가는 고지식한 회사(P.324)'를 자처하는 그런 기업. 쓰쿠다 제작소의 진가는 그렇게 추악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그렇기에 쓰쿠다제작소와 함께 나아갈 '기어 고스트'의 대표 이타미가 복수심에 불타 자신의 신념을 버린 결정에 대개의 독자들은 아쉬움을 감출 수가 없을 것이다.

언제나 통쾌한 결말로 기분좋게 책장을 덮게 해주는 작품들을 선보이는 작가, 이케이도 준. 변두리 로켓 1, 2편 역시 대기업에 맞선 변두리 중소기업의 반격으로 끝나는 결말에 통쾌함을 느꼈고, 3편도 그런 결말을 예상했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끝내 위기를 극복한 것 까지는 기존의 작품들과 결을 같이 하지만, 마지막 결말은 많은 분들을 당황케 하기에 충분했다. 마치 자신의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고정관념을 비웃는 듯 하다. 천재 엔지니어를 여성으로 설정한 것도 같은 맥락일까? 그래도 4편에서 그 결말을 다시 뒤집어 줄 것이란 기대에 크게 낙담하진 않는다. 4편을 얼른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