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주부전 ㅣ 재미만만 우리고전 10
김해원 지음, 박해남 그림, 한국고전소설학회 감수 / 웅진주니어 / 2014년 9월
평점 :
대의를 위하여~라며 약자의 희생을 강요하고 정
당화하는 사회!!!
옳은 것인지...
별주부전을 통해 알아봅니다.
고전을 읽어야하는 까닭은 참 많습니다.
오랜 세월동안 집약된 인간의 지혜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 속에 녹아있기 때문이기도 하며
그 과정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녹여주고 이심전심으로 전달되는 것들이 우리들의 마음 속에도
고스란히 전달되고 공감이 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어렵지만 고전은 꼭!! 읽어야할 책이며
고전을 알아야 조상들의 지혜를 제대로 얻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주말동안 뒹굴거리며 울 걸군이 읽는 책은
웅진주니어 재미만만 우리 고전 중 별주부전

고전으로 다루기 전 어릴때 전래동화로 먼저 접해본 책이지요~
별주부전은 그 특유의 익살과 재미 때문에 인형극, 판소리 등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판소리 수긍가가 바로 요 별주부전이지요~
얼마전 토끼의 간이라는 제목으로 별주부전을 읽어봤던 동생 후씨도 아는 척을 합니다.

그러면서 엄마가 들려줬던 수긍가도 다시 한번 들려달라고~ ^^
이럴때 들어봐야겠죠?? 같이 들어보면서 책을 봤습니다. ㅋㅋ
등장인물 소개란도 참 재미있게 되어 있어요~
그림부터 남다르죠?? ㅋㅋ
전래동화와는 다르게 좀더 자세한 이야기가 나오는
웅진주니어 재미만만 우리고전 별주부전

별주부전~의 주인공을 자라가 아닌 거북이라고 알고 계신분들도 있을텐데
별주부는 거북이가 아닌 자라랍니다.
'별'은 자라를 말하는 한자이고 '주부'는 벼슬이름이래요~
한 마디로 주부의 벼슬을 한 자라라는 뜻...
그리고 자라가 바다가 아닌 뭍에서 살게된 이유가
책 서두에 나오고 있어요 ^^
토끼의 간을 구하기 위해 토끼를 태우고 육지에 왔다가
토끼를 놓치고 바다로 못 돌아가고 있다네요 ^^
별주부의 어머니가 가지말라고 잡았지만 토끼 간을 구해
더 높은 벼슬을 하겠다는 욕심으로 나왔다가 집에도 못가고 있는 별주부...
"어른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
요런 속담이 어떨때 쓰이는지도 딱!! 알 수 있네요 ㅋㅋ

고전 문학 전문가들이 작품을 선정하고
내용 감수와 해설 작업까지 직접 참여해 그 깊이감을 더했고
동화 작가들이 동화적인 상상력과 힘을 발휘하여 긍를 썼기에
원전의 풍모와 어린이의 눈높이를 두루 갖춘 시리즈...
위의 특징 외에도 웅진주니어 재미만만 우리 고전은
아이들에게 책 읽는 재미를 주기 위해 많은 신경을 쓴듯 보여요~
일단 책 중간 중간 삽화들이 만화를 좋아하는 요즘 아이들의 입맛을 겨냥한듯
재미있어요~
게다가 종이질도 반질반질하고 올칼라라 정말 책 읽는 맛이 난답니다 ^^
책 읽는데 무슨 종이를 따지냐?? 싶으시죠??
의외로 책읽기 싫어하는 친구들의 경우 책 종이를 엄청 따지는 친구들이 많답니다.
재미만만 우리 고전은 매끈매끈 하얀 종이 위해 색색으로 삽화가 그려져 있어
그런 친구들에게도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습니다.
형님이 책을 읽으니 동생도 따라 읽는 중~~
요런게 바로 보고 배우는 거죠??
울 걸군이 아주 큰 모범이 되는 중이네요 ㅋㅋ
요럴때 엄마는 밥 안먹어도 배부르단 말을 쓰는 거죠~~

별주부가 남해용왕 광리왕 앞에서 자신이 토끼를 잡아 오겠다며
납작 엎드린 장면...
울 걸군이 재미있는 장면으로 꼽은 장면 중 하나이지요~

게다가 책 속의 글자들이 살아있는것 마냥
상황에 맞게 꼬불꼬불~배열해서 글자 읽는 맛도 살렸습니다.

책을 읽는 내내 볼거리가 풍성해
아이가 책 속에 푹~~~빠질 수 있더라고요 ^^
별주부전의 내용은 다~ 아실것 같으니 생략하고
자라가 토끼를 잡으러 뭍에 왔는데 뭍의 동물들이 서로 자기가 오래살았다며
자리 싸움을 하고 있어요~~
고전, 전래동화에서 자주 나오는 허풍들~ ㅋㅋ
고전문학에서 이런 허풍이 빠지면 재미가 없지요~~ ^^
웅진주니어 재미만만 우리고전에는 살짝 다른 고전의 이야기도 요렇게 양념치듯
섞여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누가 누가 나이가 더 많은가로 떡먹기 시합을 치르던
'두꺼비와 토끼와 호랑이의 떡 먹기'라는 전래가 섞여있는듯 ㅋㅋㅋ
책 속에서 요런 거 찾는 재미도 쏠쏠하네요~

용왕님의 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토끼가 목숨을 내놓아야하고~
토끼가 살려니 용왕님이 죽겠고...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서 번득이는 재치와 지혜로
위기를 극복해낸 토끼!!!
호랑이굴에 물려가도 정신만 바짝 차리면 된다잖아요~??
용궁에 끌려와도 정신 바짝!!차리고
간을 지켜낸 토끼의 재치와 지혜를 배워야겠죠??
용궁에 잡혀온 토끼는 꾀를 내서
나뭇가지에 널어놓은 간을 갖고 오겠다며 다시 뭍으로 나가지요~
용왕이 살자고 힘없는 토끼의 간을 취하려고 하는 것은
힘있는 자가 힘없는자를 무조건 억압하고 희생시키는 거죠?
거대한 명분이나 강자를 위해 약자의 희생을 당연시 여기는 세태가 문제죠.
예전에도 그렇지만 요즘도 이런 일들은 비일비재...
좀더 크게 생각한다면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이 남에게 큰 해를 끼칠 수도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해두고
더 넓은 시야에서 세상을 보면서 내 입장만 내세우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라는 이야기인듯 해요~
간만에 독서록도 써봤습니다~

글씨가... 에휴~
ㅋㅋㅋ
별주부전 읽으면서 세상살이를 알아가고
그 속에 녹아있는 세상의 부조리함도 깨달으면서 마음이 커 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