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4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한계급론>은 소스타인 베블런이 집필한 경제학 고전이다.  

이 책에선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노동을 하지 않고 살아가는 유한계급과 생산력을 가진 노동계급으로 크게 나누어 기술한다. 

물론 유한계급도 자산은 부족하지만 상류층 생활을 유지하는 학자계층이 존재하고, 유한계급의 일을 대리하는, 유한계급에 좀 더 가까운 노동계급도 있다. 이렇듯 여러 중간계층이 존재하지만, '유한계급'에 대한 기술에 많은 페이지를 할애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경제학 서적과 다른 것 같다.

계층을 나누어 이야기하고 유한계층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점, 그리고 종교에 대한 관점이 무신론자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은 책인 것 같다. 





이 책의 큰 특징은 유한계급의 정의, 생겨난 배경 등을 설명을 할 때나 소비 형태의 변화 등에 대해 이야기할 때, 원시 시대의 이야기부터 거슬러간다는 점이다.

글쓴이는 최초의 소유와 경제관념이 생겨난 시기부터 유한계급이 존재해왔고, 과시적인 소비 또한 오래되었다는 이야기를 강조한다.

책 곳곳에 오랜 옛날의 이야기가 나오고 분량도 꽤 많이 차지하는데, 이는 오랜 역사 자체가 저자의 주장을 뒷밤침하는 근거가 되기도 하고, 유한계급이 고리타분하고 낡은 존재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서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저자가 살아가던 시대상에 대한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분량이 많지 않다는 건 불필요한 언쟁을 피하기 위해서였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유한계급이 자신의 소유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여가 시간을 보내는 것에서 소비로 옮겨가는 부분 등에서 기존의 고전 경제학과 달리 사람의 심리 등을 차용했다는 점은 이 책의 특이점이다.

하지만 여러 경우의 수를 제시하기보단 유한계급이란 한 덩어리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 책은 경제학적인 관점으로 쓰인 비평서 정도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고전이라 처음 읽을 때 내용이 쉽지만은 않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앞에 나온 본문을 반복해 설명하거나 인용하는 구절이 많아서 놓친 부분이 있어도 전체적인 맥락은 어느 정도 따라갈 수 있었던 것 같다.


아무래도 출간된지 120년 정도 된 책이라 지금 시각에서 보면 맞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미국 대공황이 오기 전 호황의 시기, 사회주의가 유행하던 시절이라는 점 등을 감안하고 본다면 그 당시 지식인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