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철학자 황제가 전쟁터에서 자신에게 쓴 일기 현대지성 클래식 18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상록>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라는 로마 황제가 2세기쯤 작성한 글을 모아놓은 책이다.

책 초반부에 이 책이 쓰여진 시대적 배경 등이 간략히 나오는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아마도 로마시대 전성기의 마지막 선왕인 것 같다. 

이 책은 마르쿠스 통치 후기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스스로의 마음을 다잡고, 국민들에게도 그러한 윤리를 전파하기 위해 쓴 책이라 한다.

그러한 배경과 목적이 있기 때문인지 스스로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절제하고 내면을 가다듬을 것을 주장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는 스토아 학파의 주된 내용이기도 하지만, 저자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덕목이기 때문에 차용한 것 같기도 하다. 





책은 제1권~제12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권도 짧은 내용의 여러 글이 나열되어 있다.

주석은 설명이 필요한 초반에 많이 등장하며, 책의 중간에는 글의 흐름을 깨지 않을 정도로 조금만 나온다. 

책 앞부분에 해제가 나오고, 부록으로 명언집이 나오지만, 본문 자체는 그리 많은 양이 아니며, 각 글 사이 띄어쓰기가 충분해 읽기 편하다.

이런 철학 관련 고전은 글씨가 너무 촘촘하거나 분량이 많으면 읽기 부담스러운데, 이 책은 나처럼 독서력이 뛰어나지 않은 사람도 읽기 괜찮은 것 같다.


이 책은 스토아 학파의 사상을 골자로 하지만, 로마 시대에 유행했던 여러 사상이 혼재되어 있다고 한다. 

당시 로마에선 특정한 사상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당연시 되었다는데, 저자가 황제라서 여러 세력을 포용해야했기 때문인지 혹은 저자가 열린 마음의 소유자라서 그런지 알 순 없으나, 고정관념을 깨고 여러 학파의 장점을 취하는 모습은 본받을만한 것 같다.


<명상록>은 써진지 1850년 가량 흘렀지만, 그 내용은 요즘의 자기계발서적에도 뒤지지 않는 것 같다. 

저자는 육신이나 물질보다 정신을 최우선으로 보는데, 늘 마음을 가다듬고 채찍질할 것을 당부한다.

그리고 우주의 질서, 사고력, 선함 등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어, 성실히 정진하면 스스로 우주의 본성 혹은 최상의 선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긍정, 잠재성 등에 대한 시각이 현대의 자기계발서적과 비슷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 본성에 대한 믿음, 자아긍정이라는 점에서 세계적인 리더들이 좋아할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요즘 발간되는 책들은 직선적으로 말하거나, 직업, 돈 등 눈에 보이는 것에도 가치를 두는 데 반해, <명상록>은 금욕, 용기, 성실 등 정신적인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그리고 이 책이 우주의 질서와의 합치 등 운명론적 관점을 보이기도 한다.

이 책이 써진 시대엔 사람들이 운명론을 당연시 했을 것이고, 저자가 황제라는 신분 특성상 그것이 더욱 당연했을 것이다. 

이렇듯 당시 시대 상황이나 저자의 입장을 유추해 보는 것은 책을 읽는 또 다른 재미 중 하나였다.

예를 들면 저자가 말하는 사람의 본성에서 당시 '사람'엔 누가 포함되었을까? 이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고전이라 그런지 쉽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책이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