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왕자와 길을 걷다 - 어른이 되어 다시 읽는 동화
오소희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 여행'하는 작가 오소희, 그녀가 스무 편의 동화에서 길어 올린 우리 삶에 대한 위로와 격려, 그리고 일상을 향한 따뜻한 시선!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주겠지', '욕망이 멈추는 곳, 라오스' 두편의 그녀의 책을 읽고서 나는 그녀의 팬이 되었다.

세 살배기 JB와 함께 배낭여행을 떠나는 그녀가 처음엔 무모해보였지만 또 다른 한편으론 그녀의 용기가 부러웠다.

그녀가 이야기하는 스무 편의 동화가 무얼까?

그리고 그 동화 속에서 말하려는 그녀의 이야기는 무얼까?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동화나 그림책이 아이들만의 책이 아니라는 것을 차츰차츰 알아가는 나에게

이번 책 또한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와 설레임으로 책장을 넘겼다.

 

학창시절 한 번은 들어봤거나 읽어봤을법한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J.M. 바스콘셀로스 지음]에서 부터

[아낌없이 주는 나무], [얼굴 빨개지는 아이], [어린 왕자],[나는 달랄이야! 너는?, 오소희 지음]그녀의 책까지.

책을 읽는 중간 중간 지금의 내 마음을 위로해 주고 보듬어주는 내용들을 만나서 흠칫 놀라기도 했다.

 

그러다 스물둘에 가난한 종갓집으로 시집오면서 모든 것이 뒤바뀌었다. 시할머니에, 시부모에, 여덟 시동생에,

그 많은 제사까지 넘겨받았다. 어머님은 평생 일 원짜리 동전 하나도 아끼며 살았다. 쌀 한 톨도 흘리지 않으며

살았다.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리도록 대충 먹고 많이 일했다. 한쪽 눈이 멀도록 병원비 때문에 병원을 찾지 않았다. 

노년이 된 어머님에게는 중증 골다공증과 시각장애인 카드가 남겨졌다. 가족을 위해서라면 뼈가 닳아 없어져도  

아깝지 않다는 듯, 눈 하나쯤 뽑아주어도 아깝지 않다는 듯, 어머님은 말씀하시곤 했다.  (p45) 

 

내게도 이렇게 가족을 위해 평생을 일하다가 온몸이 골병이 들어서 지금 병원을 주기적으로 다니는 엄마가 있다. 

철이 없던 나는 결혼하고 아이 낳고 이제서야 그녀가 보이고 그녀의 골병든 몸이 보인다.  

그녀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서 이 구절을 읽다가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누군가 네게  세상에서 중요한 것들의 목록이 바뀌었다고 하거든 그 말을 믿지 마라. 그들이 출세나 성공에 대해  

말해도 귀담아 듣지 마라. 이 세상에 너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네가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네 인생은 성공한 것이란다. 무엇을 하든, 어디에 있든, 마음을 함께 나누는 일이 가장 중요하단다.(p88)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순수하게 마음을 나눈다는 것을 못하게 되어버린 것 같다. 

아니 어쩌면 안 하게 되어버렸다는 것이 더 정확하고 솔직하지 않을까. 

손해보기 싫어서 지기 싫어서 나도 모르게 자꾸만 재고 있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인연을 맺고 살아가는 것이 어찌 딱 딱 잴 수 있는 일이겠는가. 

그럼에도 자꾸만 가슴보다 머리가 먼저 돌아가는 내 자신을 돌아보고 꾸짖어본다. 

 

꾸뻬가 여행 중 만난 노승은 이렇게 말했다. 

" 진정한 행복은 먼 훗날 달성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존재하는 것입니다.

안타까운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복을 목표로 삼으면서 지금 이 순간 행복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는다는 겁니다." 

(p217~218)

 

행복해지고 싶고 행복하게 살고 싶으면서도 지금 이 순간 행복해야 한다는 건 까마득히 잊고 살아간다. 

사는 게 팍팍해서 업무 스트레스로 육아에 지쳐서 지금이 아닌 나중에 행복하지 뭐. 그렇게 되어버렸다. 

사실 그게 아닌데 말이다. 지금 행복해야 나중에도 행복할텐데... 

나의 행복, 우리 가족의 행복은 어디에 있는지 다시 곰곰이 생각해봐야겠다. 

 

그녀의 책에서 만난 동화 중에서 내가 미처 접하지 못한 동화들도 보여서 도서관으로 향했다.

한 두권씩 읽어보고 싶어졌기 때문에....

그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요즘 내가 중요한 걸 잊고 살아가고 있구나.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고

결정을 내려야 할 일이 있었는데 그 결정을 내릴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꾸밈없는 솔직한 그녀의 이야기가 육아로 살림으로 조금은 지쳐있던 나의 마음에

따뜻한 위로와 격려가 되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 샤베트
백희나 글.그림 / Storybowl(스토리보울)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백희나 작가님은 구름빵을 통해서 알게 되었어요.

 

구름빵 책을 너무 좋아해서 뮤지컬도 아가랑 보러 갔었답니다. ^.^

 

그러다 백희나 작가님의 또 다른 책 '달 샤베트'도 알게 되었죠.

 

너무너무 무더운 여름날, 달이 녹는다는 설정....

 

우와!! 그리고 그걸 얼려서 정전이 되어서 무척 더워하는 동네 사람들과 나눠 먹고

 

모두들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이 창문만 열고 시원하게 잠을 잤다는 내용...

 

정말 너무나 참신하고 읽으면 읽을수록 재미나네요.

 

아가에게 읽혀주려고 구입했지만 사실 제가 더 재미나서 자주 읽혀주게 되네요.

 

여름날 이 책을 읽었다면 저도 요구르트라도 꽁꽁 아이스께끼에 얼려서 아가에게 줬을텐데....

 

지금은 공기가 차서 말이죠. ㅋㅋㅋㅋ

 

내년을 기약해봐야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뽀로로와 요리사 로봇 - EBS TV 방영 뽀롱뽀롱 뽀로로 감성동화 시리즈
키즈아이콘 편집부 지음 / 키즈아이콘(아이코닉스)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뽀로로가 나와서 좋아하는 것도 같고...^.^ 하루에도 몇번씩 읽어달라고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뽀로로와 요리사 로봇 - EBS TV 방영 뽀롱뽀롱 뽀로로 감성동화 시리즈
키즈아이콘 편집부 지음 / 키즈아이콘(아이코닉스)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동네 작은 도서관에 책을 빌리러 갔다가 발견한 책!

 

뽀로로와 요리사 로봇.

 

대여기간은 2주일인데 반납을 못하게 해서 구입!!

 

너무나 사랑하는 책이 되었어요.

 

읽고 읽고 또 읽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행복한 미술 선생님 엄마와 행복한 미술 시간
바오.마리 지음 / 진선아이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내가 학생시절 가장 싫었고 점수가 안 나왔던 과목 중의 하나가 미술이다.

그래서인지 내게 미술은 참 '어 렵 다'

시간이 흐르고 내가 어른이 되어보니 미술은 기초가 중요한 것 같다.

우리 민서가 아직 어리긴 하지만 엄마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어서 읽어보게 되었다.



첫장을 넘기면

'아이가 행복하면 그림도 행복해요'라고 적혀있다.

그래서 미술치료라는 것도 있는게 아닐까.

그리고 아이들의 눈을 가리기보다, 자세히 볼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한다.

사물을 자유롭게 관찰하고 특징을 발견하는 시간이 아이에게는 또 다른 행복과 즐거움이 된단다.

요즘 한창 밖에 나가면 무언가를 뚫어져라 쳐다보기도 하고

관심을 가지려고 하는 것 같다.

하긴 모든게 신기하겠지.



차례를 보면 1장은 소재 그리기와 실력쑥쑥 레벨업

2장은 주제 그리기와 실력쑥쑥 레벨업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1장은 소재들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멋지게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해놓았다.

페이지마다 Tip도 적혀 있어서 엄마인 내가 봐도 도움이 많이 된다.

일단 나부터 이 책을 보면서 부지런히 연습을 해야 할 것 같다.

2장은 1장에서 익힌 소재들을 활용하여 멋진 주제화를 그려놓았다.

1장에서와 마찬가지로 페이지마다 Tip이 적혀 있어서 주제화를 그릴때 도움이 될 것 같다.

다양한 주제화로 그린 친구들의 작품도 같이 소개되어져 있다.

같은 그림을 참고해도 아이들은 서로 다르게 느끼고 다르게 배워간다.

아이들은 본 것을 그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생각으로

재구성하여 표현하기 때문이다.

아동화를 그리는 시기에 가장 좋은 참고 그림은 바로 또래 친구들의 멋진 그림이다.



책을 다 보고 나서 아이가 봐도 엄마가 봐도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나 나처럼 상상력이 부족하거나 미술에 정말 자신이 없는 엄마라면 한번쯤 보면 괜찮을 것 같다.

이제 민서가 조금 더 크면 스케치북을 꺼내놓고 나와 함께 그림을 그리기도 할텐데

그 시간이 나에게도 민서에게도 즐거운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민서는 나처럼 미술시간은 재미없고 어려운 시간이 아니라

즐겁고 신나는 시간이라고 느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선 책에서 말한대로

민서가 사물을 자유롭게 관찰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겠지.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