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정이입이 이토록 되면서 읽은 책은 정말 오랜만이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후반부로 가면 키티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랐다. 읽으면서 정말 손을 불끈 쥐도록하는 키티의 철 없고 뻔뻔함 모습에 화가 났기 때문이다.

 

줄거리를 간단히 소개하면 이렇다. 키티는 허영 많은 엄마의 기대 속에서 명망있는 남자와 결혼하려고 사교계에서 활동하지만 이리 재고 저리 재다 나이가 든다. 그 와중에 자신보다 못하다고 생각한 여동생이 명망있는 집안의 남자와 결혼하려고 하자, 들러리가 되기 싫어 도피하듯이 월터와 결혼을 한다. 월터를 따라 홍콩에서 지내게 된 키티는 매력적인 유부남 찰스와 밀애를 하게 된다. 이것을 남편인 월터에게 들키지만 오히려 이참에 이혼하고 찰스와 결혼하면 된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찰스는 자신의 부인과 이혼하고 싶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렇게 협박아닌 협박으로 키티는 월터를 따라 콜레라가 창궐한 곳을 따라간다. 그 곳에서 키티는 위험을 무릎쓰고 아이들을 돌보는 수녀들과 콜레라 유행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도시를 보며 삶에 대해서 고뇌하고 이를 통해 성장을 한다.

 

줄거리는 굉장히 통속적이지만 서머싯 몸의 특유의 유머와 속도감 있고 재밌는 스토리이기 때문에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서머싯 몸의 다른 소설과 마찬가지로 이 소설도 주인공 키티의 성장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서머싯 몸의 소설을 좋아하는 이유는 인물들이 인간적이기 때문이다. 인간을 주인공을 하니까 인간적이지 라고 물을 수 있지만 내가 말하는 '인간적'이란 완벽하지 않고 서투르다는 것이다. 특히 '인생의 베일'에 키티는 그런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다른 소설 같았으면 콜레라가 창궐하는 오지에서 여러 체험을 통해 성장을 하게 되면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한 남편이 알고보니 잘 생기고 주변사람에게 평판도 좋은 걸 알게되면 용서를 빌고 그것을 계기로 진정한 사랑을 알게되는 스토리 일텐데  키티는 월터의 장점을 보게 되서 존경?하게되지만 사랑하진 않는다. 자신에게는 여전히 매력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신 때문에 분노로 고통받는 월터를 불쌍히 여기고 월터가 과거를 잊고 자신과 친구처럼 지내길 바란다. 하지만 월터는 그러지 못하고 결국 죽게된다. 사실 월터가 죽기 전까지는 월터가 키티의 외도에 대해 크게 개의치 않다고 생각했다. 키티의 시점에서 월터의 모습이 그려지기 때문에 나는 오히려 월터에 대한 묘사가 철저히 키티의 시점에서 과도하게 과장되거나 키티의 착각으로 묘사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월터가 그렇게 죽은 뒤에는 키티의 생각이 맞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키티와 같은 입장으로 월터가 불쌍했다. 여기서 월터는 말이 없는 케릭터라서 정말 헷갈린다. 결혼 전에도 키티를 좋아하는건지, 외도를 할 때도 눈치를 챈건지, 오지에서는 아직도 그 일로 화가 난 상태인지 헷갈린다. 그러한 미스테리한 모습 때문에 그의 죽음이 슬프다.

 

키티는 내가 지금까지 읽었던 책 중 가장 인간적인 캐릭터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월터가 죽고 부모님 댁으로 다시 돌아가기 전 잠깐 홍콩에 있는 동안 찰스를 만나게 되는데 그녀는 이성적으로 그를 굉장히 안 좋게 생각하지만 찰스와 육체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 사실을 그녀는 굉장히 고통스러워한다. 나는 여기서 왠지모르게 인간적임을 느꼈다. 키티는 찰스의 배신, 콜레라가 창궐한 도시에서의 죽음에 대한 공포 등을 극복하면서 성장도 하지만 반이성적인 욕정으로 인한 부도덕한 일도 한다. 여기서 왠지 인간이란 성장을 하지만 그 지향하는 모습이 신이 아니고 더 성숙한 인간이라는 생각을 하게끔해서 좋았다.

 

무한경쟁의 시대에 살고 있는 오늘날 사람들이 때론 실패하고 쓰러지더라도 너무 자책하지말라는 의미로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