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 만차스 통신 - 제16회 일본판타지소설대상 대상수상작
히라야마 미즈호 지음, 김동희 옮김 / 스튜디오본프리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우연히 이 책을 알라딘에서 발견 후 뭔가 느낌이 왔던 건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공의 경계'를 재미있게 읽고나니 전기물에 흥미가 생겨서 선택한지도 모른다.
표지부터 어딘지 모르게 기괴했고, 책 소개를 읽고 나니 무언가 흥미가 동했다고 할까?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무언가 기괴하기는 했지만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준것 같지는 않다.

처음에 이 작품을 접하게 되었을때는 단편적인 정보로 막연히 '소년의 성장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결론은 이 책에서 소년의 성장이라는 요소는 조금도 보이지 않는다.
마치 이 작품에서 주인공이라는 존재는 그저 타인에 의해서 움직여지는 실에 묶인 마리오넷 인형을
생각나게 한다.
처음에는 가족에게서, 후에는 타인들에게 오직 주인공은 끌려다닐뿐인 존재인 것처럼 보인다.
물론 마지막에 자신의 의지로 살인을 하게 되는 부분도 있지만, 하지만 독자의 입장에서는 역시
그것조차도 단순히 이용당할 뿐이라는 생각이 강렬하게 드는것은 대체 무엇일까?

이 작품은 '소년의 성장기'나 '데미안'과 같은 성장 소설로 분류하기는 무리가 많다.
예전에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해변의 카프카'를 읽으면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은적이 있었다.
'해변의 카프카'역시 소년의 성장기를 그리는것 같아 보였어서 어떤면에서는 단순히 기괴한 소설이라는
인상밖에는 남지 않았다.
이 작품 역시 초반에는 '그'라는 존재의 등장으로 궁금함을 유발하지만, 후반에 갈수록 단순히 현실에서
벗어나거나 정신적인 문제를 가진이들이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점점 주제와 저 멀리 동떨어져간다는
인상을 받았다.
또한 내용중에 책 제목과 같은 "라스만차스라는 말이  '라 만차'에서 유래된 말로, 소설속에 등장하는
영화의 이야기이다."라는 대목이 나오는데 솔직히 주제에 이 내용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 지도 알수가없었다.
단순히 자신의 가족이 저주받은거라는 것인지? 아니면 저주받아 마땅할 정도로 타락해 버린 가족을
풍자하면서 현제 사회적인 가족문제를 비난하는건지 모르겠다.
단순히 극단적으로 평가하자면 소설은 아니지만 과거에 재패니메이션을 한편 본적이 존재하는데 그 작품은
'신세기 에반게리온(新世紀エヴァンゲリオン)'라는 작품인데 왠지 라스 만차스는 이 작품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어쩌면 단순히 주인공이 나약하다는것과 주변인물이 정신적으로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게 비슷한
건지도 모르겠다.)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작가의 사상을 받아들인다는것과 그 책에서 무언가를 느낄수도 있는것이다.
또한 재미만을 추구하면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라스 만차스'라는 소설은 개인적으로 아무것도 느낄 수가 없었다.
무언가 빠져 있는 걸수도 있고, 아니면 내 스스로 작가의 메세지를 못 찾은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만인에게 권할 수 있는 책은 아니라 본다.
오히려 소수의 매니아 층을 위한 책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것은 나뿐일까?
어쨌던 기회가 생기면 다시한번 서고에서 책을 꺼내 읽어 볼 날이 올지도 모르겠지만 현제는 아니라 하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 2005-11-12 16: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비슷한 느낌 받았습니다.
몽환적으로 느껴질만한 요소들을 깔아놓고, 정작 메시지는 없습니다.
저 역시 표지‹š문에 그런지, 에반게리온과 상당히 비슷한 느낌을 받았고, 주인공또한 신지와 비슷했지만, 에빈게리온이 더 재밌었다는...-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