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삶, 나의 집 - 집을 헐어버리려는 건설감독관과 집을 지키려는 노부인의 아름다운 우정
필립 레먼.배리 마틴 지음, 김정희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영화 업

주인공 할아버지는 할머니를 떠나보내고 홀로 집에 살고 있다.

할머니와의 추억이 가득한 집에서 죽음을 맞는 것. 유일한 그의 소망

하지만 그의 집 주변에 커다란 빌딩이 세워지게 되고, 그의 집까지 허물고 빌딩을 지으려 한다.

그것을 막기위해 할아버지는 집에 풍선을 달아 통째로 떠나게된다.

 

이 영화의 실제 모티브인 나의 삶, 나의 집이 출간되었다.

집을 헐어버리려는 건설감독관과 집을 지키려는 노부인의 아름다운 우정을 담은 회고록이다.

 

이디스 윌슨 메이스필드 할머니와 쇼핑몰 건설현장감독관 배리 마틴, 전혀 어울리지 않는 그들은 전 세계가 감동할 우정을 쌓았다.

 

영화 UP에서 본 내용은 애니메이션을 위해 각색한 내용이라 이 회고록 속 실제 이야기와는 많이 다르다. 하지만 그 감동은 그대로 전해지는 , 아니 오히려 더욱 배가 되어 느껴졌다.

특히 이디스할머니의 집을 사서 그 자리에 건물을 세워야하는 건설감독관과 우정을 쌓았다는 사실이 와닿았다.

 

할머니의 심정이 어땠을까 생각한다. 할머니가 바라는 건 오직 지금까지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이 집에서 , 이 집 소파에서 삶을 마감하는 것이었다. 그 소박하고 아무것도 아닌 소원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할머니의 심정은 어땠을까. 매일같이 기자들이 찾아오고, 건설담당자들이 찾아와 흥정을 하려하는 상황에서 할머니는 자신의 신념을 어떻게 지킨 것일까.

실제 집 값의 열 배가 넘는 금액으로 흥정을 해도 절대 내어주지 않은 그 신념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그녀가 그녀의 집에서 삶을 마감한 후, 그녀의 집을 산 사람이 가진 계획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다. 이디스의 집을 산 사람은 영화 UP에 나온 집처럼 이디스의 집 그대로 보존하며 위에 풍선을 달아 지면에서 6미터 정도 들어올릴 계획이다. 다른곳으로 날려보내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집 아래에는 사람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 계획이다. 이 집의 이름은 크레도 스퀘어이며 이디스가 그녀의 신조(credo)에 따라 살았다고 생각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녀의 신념, 그녀의 신조를 고스란히 느끼며 책을 덮었다.

그리고 나의 신념, 신조를 생각해보았다.

과연 나도 이디스 할머니 처럼 당당할 수 있을까?

내가 저 상황이었다면 과연 어땠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이들의 우정처럼 굳건한 우정을 만날 수 있을까 싶었다.

 

나의 삶, 나의 집을 읽고

이디스가 쓴 책 <어제가 시작된 곳>, <8월의 아지랑이>를 읽어보고 싶어졌다.

과연 그녀의 삶이 어땠을까?  배리 마틴은 그녀의 책을 읽고 책의 여주인공이 궁금해하던 내용처럼 이 일들이 꿈이나 환상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받았다고 한다. 확실한건

그녀는 평범한 삶을 살아온 사람은 아니라는 것이다.

 

나의 삶 나의 집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바라는 것이 담긴 책이라 느꼈다.

무거우면서 가볍고 부드러우면서 날카로운 감정들이 느껴지는

회고록 나의 삶 나의 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