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로컬, 브랜드 - 좋아하는 곳에서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을까?
곽효정 지음 / 지금이책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에게 '국내 여행'하면 떼어놓을 수 없는 제주도

요샌 제주도 물가가 너무 올라 제주도 갈 바엔 해외 여행 간다는 사람도 많지만

그래도 제주도 여행은 해외 여행만큼의 설렘을 주는 여행지라고 생각한다



난 고모네가 제주도에 있어 미취학 아동때부터 제주도를 자주 오갔다

방학때면 엄마가 제주도 고모네에 나와 오빠를 맡기고 일을 하셨다

그 땐 고모네 집에서만 거의 있었을 뿐더러

그 때의 제주도는 지금처럼 관광 도시는 아니였던 것 같다

아파트도 별로 없었고... 그냥 시골 느낌?

오랜만에 방문한 제주도는 국내 여행의 중심지 답게 여러 핫플로 넘쳐났고

더불어 다양한 로컬 브랜드들이 흥미를 끌었다

효리네 민박 이후 소품샵으로 운영 중인 '소길별하'에 다녀왔는데

정말 다양한 제주 브랜드들이 있어 놀라웠고, '제주'와 딱히 연관점이 없어

애매한 브랜드들도 보였다




' Brand'는, 소유주가 자신의 가축에 낙인을 찍은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 한 제품의 속성, 이름, 포장, 가격, 역사를 뜻하는 의미로 발전 되었고

지금은 '자기다움'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브랜드'라는 단어를 가지고 본인과 같이 제주에 정착한 사람들을 찾기 시작했다고 한다



제주 로컬 매거진 <sarm>을 창간해 자신만의 브랜드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을 인터뷰했고,

2018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쌓은 인터뷰 중 16개의 브랜드를 뽑아 출간한 책이

바로 <제주, 로컬, 브랜드> 이다​






구성은 크게 네 파트로 나뉘어진다

PART 1) 나의 브랜드는 거룩한 노동 (라이스나이스, 하윤이네농원, 문사기름집, 소농로드)

PART 2) 내가 아닌 타인의 '가치'를 알리는 일 (제주로부터, 그린블리스, 요이땅삐삐, 소리소문)

PART 3) 너와 나의 이야기를 기다리는 시간 (카페단단, 랄라밀랍초, 워터벨롱, 목리)

PART 4) 좋아하는 것이 '일'이 될 때 (클래식 문구사, 여행가게, 카라네책부엌, 버거스테이)



브랜드의 성격별 (요식/제품)로 분류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인터뷰이의 브랜드에 대한 가치관과 브랜드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파트를 구성한 것이 생각보다 책에 더 몰입할 수 있는 구성이었다​






16개의 브랜드 중, 가장 재밌게 읽었던 브랜드는

'우리에게 필요한 이야기가 있는 공간, 목리'였다



제주도에서 나만의 카페를 차리는 것은 카페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상상해봤을 것이다

다만 가뜩이나 넘쳐나는 카페 중, 제주도에서 살아남은 브랜드에 대한

사장님의 가치관과 '목리'라는 브랜드의 철칙에 대해 알 수 있는 인터뷰였다



그 외 모든 브랜드에 대해서도 처음 접하는 시간이었고

브랜드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갖고 꼭 다음 제주 여행때는

방문하고 싶어지는 책이었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글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