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 구경하는 사회 -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가
김인정 지음 / 웨일북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 표지에 써있던 말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우리는 왜 불행과 재난에서 눈을 떼지 못할까



우리가 불행과 재난에 대해 주의를 집중하거나 관심을 두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적 호기심, 사회적 연대감, 미디어 보도, 그리고 생존 본능

우선 인간은 호기심이 강한 동물로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왜 그런 일이 발생했는지 궁금해하고

이해하려는 본능이 있다고 생각한다. 불행과 재난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사건과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그리고 종종 사회적 연대감을 형성하고 강화시킨다

또한 생존 본능을 자극해 이러한 상황에서 생존에 필요한 대처 및 대비책을 고민하고

행동에 옮기려는 욕구가 생긴다

하지만 결이 다른 하나가 있다. 바로 '미디어 보도'

미디어는 불행과 재난에 대한 보도를 강조하고 중요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보도는 사람들의 주목을 끄며 관심을 끌어낸다



그러나 때로는 과도한 매체 보도가 공포와 불안을 조장할 수 도 있다

이 책을 들어가며, 작가는 이태원 참사를 언급하며

기자로서 본인이 겪었던 현실과 감정, 미디어 보도의 현실 등을 언급하였다

나도 딱 1년만에 다시 그 때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처음 참사 현장이 공개되었던 당시, sns를 통해 퍼지던 영상들과 많은 사람들의 충격을 다시금 떠올리게 되었다

가장 경제적인 애도 앞에서 우리가 놓치는 것들에 대해 이 책은 다시 한 번 꼬집어 준다

타인의 고통에 공감한다는 착각

가끔 사람들은 달느 사람들의 고통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만,

실제로는 그들이 겪는 감정이나 상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동정하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고통을 공감하려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이 느끼는 감정을 진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우리가 보이는 고통을 수집하는 사이에

보여줄 수 없는 고통과 보이지 않는 고통은 상대적으로 소외된다

우리가 기억하는 이름이 몇 개인지를 헤아려 본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