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답다고 말한다. 수식을 보며 아름답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대체 이들은 방정식에서 어떻게 아름다움을 찾는 걸까? 이론의름다움은 그것이 가진 간결함, 즉 대칭에서 온다. 올바른 이론은적합한 대칭성을 갖는다. 이런 이론은 아름답다. - P228

수학은 자연을 믿을 수 없을 만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기술한다. 수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 물리법칙이 된 예는 없다. 물리학자는 외계인을 만나더라도 수학으로 소통이 가능할 거라 믿는다. 우주가 정말 수학으로 쓰인 것인지 우리가 수학의 틀로만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수학이 없다면 물리도 없다. - P234

마찰이 있다면 물체는 결국 멈춘다. 당겨진 종아리 살이 진동하지 않고 바로 서는 것은 마찰이 크기 때문이다.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중심에 이르고자 하지만 항상 지나쳐 다른 한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단번에 원하는 중심에 도달하기는 힘들다. 결국 진동이 잦아들며 조금씩 목표에 접근해가는 거다. - P239

우주는 초끈이라는 현의 오케스트라다. 그 진동이 물질을 만들었고, 그 물질은 다시 진동하여 소리를 만든다. 힌두교에서는 신을부를 때, 옴aum이라는 단진동의 소리를 낸다고 한다. 이렇게 소리의진동은 다시 신으로, 우주로 돌아간다. 결국 우주는 떨림이다. - P243

합리적 의심을 하는 사람이 비난받는 사회는 그 대가를 치르기 마련이다. 우리 사회에 과학적 합리성이 필요한 이유다. - P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