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도자 이야기 - 유네스코 세계 공예 도시 이천 도자의 어제와 오늘
조용준 지음 / 도도(도서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쌀과 도자기의 고장 이천. 그곳에 가면 우리의 전통부터 현대의 미가 담긴 도자기까지 도자기의 모든것을 볼수가 있다.

공예를 전공한 사람으로서 처음엔 도자전공을 선택했지만 이내 금속공예로 전공을 바꾸었기에 물레 몇번 차 본것으로는 도자기 예술의 맛만 겨우 보았던 정도라고 할수 밖에 없다. 이런 현실이라면 일반인은 도자기에 대해 아는것이 있을까? 머리글에서 저자는 비슷한 내용을 언급한다. 고려청자와 이조백자가 세계 최고라는 주입식 교육만 받았지 정작 그것에 대해 기초적인 것이라도 아는 사람이 있는가에 대한 회의. 과연 우리는 우리의 도자기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던것인가.

청색 안료를 써서 청자로 불리고 있지만 초록에 가까운 고려의 청자. 책속 청록색 청자의 화려함과 조선의 백자는 문외한에 가까운 내가 보아도 너무나 아름답고 멋스럽다. 조선청화백자의 그 수수하고도 수더분한 청색과 백색의 조화. 세계최고라고 자부하지만 국제미술품경매에서 고가로 경매되는것들은 일본의 도자기이고 중국의 현대작품들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현실이다. 400년전 우리의 도공들을 납치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이제는 세계 최고의 도자기로 인정받는 일본이 우리에게 해온 수탈의 역사는 책에서 자세히 다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그 많은 왜란들을 거치며 사라져 간 우리의 도자기들과 제작기술은 어떻게 다시 살아나 현재까지 이어지게 됐는가? 이천의 역사에 그것들이 있다. 오랜 세월동안 이 땅의 도자기들을 생산해 낸 가마터가 있는 이천이다.

책은 이천에 관한것 뿐만이 아니라 우리 도자기에 대한 전반을 다루고 있어 우리의 역사와 도자예술까지 모든것을 알수 있는 좋은 기회다. 도자기에 관한 제대로 된 책 하나 없음에 안타까웠다는 저자가 우리 도자기에 관한 기록을 담은 소중한 책이다.

이천 도자기 축제를 한번 간적이 있다. 아주 오래전이라 기억도 희미한데 책을 읽고 나니 다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간다면 이전과는 많이 다른 느낌들을 받을것 같다.

단지 흙일뿐이던 덩어리는 공기가 빠지고 유약이 발라지고.. 가마속 천도가 넘는 불길에 수분등 남겨진 모든것을 태운다. 흙에서 예술품으로 탄생하는 도자기다. 단순 세라믹을 넘어서는 우리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일깨워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