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쵸에 따라 나오는 디핑 치즈소스를 생각나게 하는 노란 커버. 그래서인가 멕시코 책임을 느끼게 해준다. 데낄라와 살사향이 날것만 같은 소설.

멕시코 작가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의 500 페이지가 넘는 장편 소설이다. 뉴욕 타임스가 주목할 TOP100 책에 선정하고 여러 기관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할 만큼 작품성을 인정 받은 책이다.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의 최종 후보에도 오를정도이니 상당한 기대를 하게 만든다.

멕시코 이민자로 미국에서 살고 있는 빅 엔젤은 70세 노인인 주인공의 이름이다. 빅 엔젤은 70세 생일을 앞두고 자신이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어쩌면 마지막 생일이 될지도 모르는 자신의 생일. 그 날을 위해 모든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를 생일파티로 계획을 한다. 그러던중 생일을 일주일 앞둔 날 설상가상으로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고 만다. 여기서 소설이지만 멕시코적 일들이 일어난다. 우리나라의 현실에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 빅 엔젤은 일주일 차이의 큰 행사에 참여하러 오는 가족들을 위해 커다란 결단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와 달리 거대한 땅덩어리의 미국에서 일주일 간격으로 장례식과 생일파티에 참여하러 온다는것이 결코 쉽지 않은 일이기에 빅 엔젤은 어머니의 장례식을 자신의 생일날로 미루어 장례식과 생일파티를 같이 하려는 계획을 실행한다. 소설적 묘미이자 미국이란 나라에 사는 멕시코 이민자 가족에게서 벌어지는 이런 에피소드가 너무나 유머러스하게 펼쳐진다.

이민자로서 타국에 사는 이들의 모습과 그들의 가족애와 갈등등 많은 이야기들이 서사적이며 시종일관 유머를 잃지 않으며 전개가 된다. 복잡한 가족관계는 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많은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어 어지럽지만 재미있는 이야기거리들로 가득하다. 죽음이란 것에 대한 유머러스한 해석. 우리 정서로 보면 언뜻 이해가 가지 않을수도 있지만 소설을 그것을 충분히 있을수 있는 유쾌함으로 표현해 내고 있다.

왜 뉴욕타임스가 주목을 했는지 알것 같다.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는 이미 많은 수상을 하며 훌륭한 작가로서 인정받았는데 우리에겐 이 책으로 처음 소개되어 생소하기만 했다. 꼭 기억해 둘 작가이자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