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사이드 인사이트
욘 리세겐 지음, 안세민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트업에서 유니콘으로 성공한 기업 데이터 분석 회사인 멜트워터의 대표 욘 리세겐이 현대의 화두인 빅 데이터에 관하여 쓴 책이다. 현대의 기업에서 사업의 운영이나 마케팅등 다양한 방면에서 절대적 영향력과 다양한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는것이 빅 데이터다. 멜트워터가 그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업을 분석하는 곳이니만큼 현장에 관한 현실과 실제적 이야기들에 관해 들려줄수 있었을것이다.

첫번째 장에서 빅데이터의 무서운 점을 시작으로 그 파괴력을 알려준다. 범죄 사실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검거했다는 사례를 드는데 이것만 보면 빅데이터보다는 SNS에 관한것으로 보이지만 SNS 안에는 데이터가 담겨져 있고 그속에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것들이 숨어 있기도 하기에 그것은 긍정적이거나 때론 부정적인 미래의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것은 개인의 측면만이 아닌 기업의 측면에도 영향을 줄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두번째 장에서는 빅 데이터의 허와 실을 이야기하고 있다. 절대적 영향만을 줄것같은 빅 데이터도 예외가 있으며 기업 내부의 과거 기반의 데이터는 객관적 시각을 벗어난 근시안적 시각으로 빅 데이터가 반드시 절대적이지 않음을 알려준다. 그 사례로 멜트워터 자사와 블랙베리사의 예로 증명하고 있다.

1부의 마지막장에서 외부 데이터가 보여주는 지표들을 단순히 보아넘기지 않고 잘 활용한 마크 저커버그의 사례를 들려준다. 페이스북이 인스타그램을 인수했던 사건은 꽤나 유명했던 사건인데 단순히 보다 간결한 앱을 인수한것으로만 알고 있던 일화의 이면에 인스타그램을 잠재적 미래의 큰 위협으로 여겨 인수한 저커버그의 판단력이 돋보인다. 신생 앱 기업을 당시엔 비난거리였던 10조가 넘는 가치로 평가인수했던 그의 결단은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대단한 혜안이었고 실행이었다. 이렇듯 외부 데이터의  중요성은 2부로 이어진다.

책은 남은 3부에서 외부 통찰에 대한 다양한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외부 통찰의 중요성과 사례 그리고 미래까지 빅 데이터가 던져준 디지털 시대의 과제를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하는지 제시해 주고 있다. 꽤나 흥미롭고 재미있는 책이다. 더 흥미로운건 책을 읽고 알게 된 사실인데 욘 리세겐이 노르웨이에 입양된 한국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동포이니 더 애정을 갖자는 말은 아니다. 그는 어차피 검은머리 외국인일것이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