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계절이라면
윤인혜 지음 / SISO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시를 읽는 것에는 감성의 여유가 필요하다. 한 장 한 장, 하나의 시를 읽으며 행간을 느끼고 시인의 마음을 들여다 본다. 시의 행간과 여백에는 시인의 숨결이 담겨져 있다. 여백의 미 같은 글 이면에 담긴 그 여운과 함축의 의미들을 느끼며 때론 정화가 되고 힐링이 되고 위안을 얻는다.
꽃 피는 봄을 지나고 땀방울이 떨어지는 여름을 건너 쓸쓸한 가을을 지난다. 이제는 어느새 겨울이 코 앞에 와 있다.
시인은 겨울을 자정의 시간으로 여긴것 같다.
00:00의 시간으로 표현한 겨울은 우리에게는 한 해를 마무리하고 시작하는 두개의 시간을 함께하는 계절이다. 00:00은 하루의 마지막임과 동시에 시작의 시간이다. 겨울도 우리에게는 그러한 계절이다.
계절이 바뀌는 것은 시간이 흘러 가는 것이다. 4개의 계절을 보내며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들을 겪으며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하며 살던가.
시인 윤인혜는 그렇게 계절 속에 자신의 외로움과 번민과 이야기들을 담아 노래한다. 한낮 3시의 햇살같은 봄의 노래들을 시작으로 6시같은 여름, 그리고 저녁 9시편으로 가을과 자정의 겨울까지 저자는 빛을 비추는 거리마다 모든것에 사랑하는 마음을 가득 담아 시를 썼다고 한다.
시인의 마음을 따라 한발 한발 가본다. 계절이 가듯.. 시간이 흐르듯. 시인의 시와 행간을 보며 시인의 마음을 느껴 본다.
지난주 저자를 포함한 젊은 작가들의 북 콘서트가 있었다. 몇번 가본적이 있는 언주역 이디야 커피랩은 제법 근사한 장소여서 개인적으로 독서모임도 하던 곳이다. 가보았으면 좋았을듯 했다.
저자의 가을 시 한편을 보낸다.
긴 밤
마음 깊은 곳 묻어 두었던
아픈 기억의 조각은
이따금 가시처럼 돋아나
엷은 마음을 찔러댄다
아름다운 꽃잎을 떠올리려 해도
독한 향기는 금세 공기를 에워싸고 만다
아물지 않은 상처를
마주하는 밤은
너무나 길고 쓰라리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