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에 발간된 책이다. 국내 첫 발간인지 이전에 소개 된적이 있는지 어떤지 모르겠다. 처음 소개 되는거라면 왜 이제서야 이런 책이 나온것인지 상당히 궁금하다.양과 내용의 방대함에 놀라게 되는 책이다. 600페이지 가까운 일반 서적의 두 배 정도 되는 책속에는 천문학부터 물리학과 양자역학의 과학은 물론 철학에 생명과학까지 심오하기 그지 없는 다양한 학문들을 녹여 놓았다. 흡사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동시에 읽으며 니체와 아인쉬타인까지 곁들여 읽는것 같은 느낌이랄까.살아 오면서 한번쯤은 궁금해 했던, 또는 생각해 보았던 것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영화등 익숙한 예들을 통해 재미있고 비교적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비교적이란 단어가 상대적이라 다가오는게 개별적이겠지만 이런 책들이 주는 난해함에 비하면 그렇다는것이다. 쉽다 하고 읽다보면 어렵고 어렵다 하고 보다 보면 이해가 되기도 한다. 의외로 쉽고 의외로 깊은 책이다.표지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석좌교수인 장하석 교수가 추천한 과학책이라 적혀 있다. 그는 걸작이라고까지 말하는데 그런 찬사를 받을만한 책이다. 간단히는 과학책이라고 할수 있겠지만 이 책은 천문학과 과학서를 넘은 인문학의 집합체다. 굉장히 재미있으며 정말 다양한 분야의 이야기들을 접할수 있다. 이런 책이 늦게나마 발간이 되어서 다행이다. 멋진 책을 또 하나 만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