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담 - 글에 대한 담론, 불편한 이야기
우종태 지음 / 예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에 대한 담론이란 의미로 책의 제목을 글담으로 했다고 한다. 여기에서 글은 한자를 말한다. 담론이란 단어는 신영복선생의 책 제목으로 쓰여지기도 했는데 그래서 그런것인지는 몰라도 어딘지 신영복 선생의 책을 읽는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했다. 존댓말로 글을 풀어 나가는것하며 한자에 박식한 것등, 착각인지는 몰라도 비슷한 느낌이 든다.

저자는 변호사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다. 그런 그가 이 책을 왜 썼는지는 서문에 나와 있다. 직무로서 채울수 없는 허함. 변호사로서 많은 공부를 하고 다양한 지식을 체득했음에도 만족할수 없던 어느 날 원시 한자속에 담긴 의미들 속에서 깨달음을 찾았다고 한다. 상형문자인 한자에 많은 뜻이 담긴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그것에서 깨달음을 얻어 글에 대한 담론을 하며 책으로서 쓸수 있는것은 쉽거나 흔한 일이 아니다.

책속에는 한자에 스며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이름에 얽힌 이야기들로 시작을 하는데 한자를 풀이하고 분해하고 썬다는 의미로 스스로 이름을 썰자로 지었다는 얘기는 재미있는 에피소드다. 각 글의 뒤에는 한자에 대한 풀이를 따로 정리해 놓아 이해에 도움을주고 있다.

제목 글담의 앞에 붙어 있는 불편한 이야기라는 소제의 이유는 책을 보다 보면 알수 있다. 문제적 책일수 있음을 저자 스스로도 알고 있는데 그것은 몇가지 부분에서 그동안 우리가 당연한듯 행해 온 것들에 대한 부정때문이다. 한 개인의 의견으로 치부하고 넘길수도 있고 노발대발 할수도 있을 대목이다. 개인적으로는 꽤나 흥미롭게 읽었는데 그것은 내 취향이나 가치관과도 통하는 부분이 있어서인것 같다. 세상일에는 역사적 오류임에도 전통으로 포장되어 행동양식을 지배하는것들이 있음을 알기에 저자의 의견이 말도 안된다는 생각은 하지 않게 된다. 유학사상의 허울과 허례를 싫어하는 사람중 하나이기에 저자의 불편한 이야기들이 불편하지 않게 다가왔다.

많은 공부를 하고 다독을 한 사람만이 할수 있는 이야기가 담긴 책이다. 아무리 봐도 마치 신영복선생의 담론을 읽는것 같다. 말투에서 오는것이 크겠지만 다양한 주제와 그에 관한 해박한 지식들이 그렇다. 저자가 의도한것인지 혹시 신영복 선생에 대한 오마쥬인지는 알수가 없다. 이것은 칭찬이다. 저자에게 한번 물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