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초민감자입니다 - 지나친 공감 능력 때문에 힘든 사람을 위한 심리치료실
주디스 올로프 지음, 최지원 옮김 / 라이팅하우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만나기 전까지는 초민감자가 있을거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다. 그냥 저 사람은 좀 예민하구나..정도의 생각으로만 살아왔었다. 과연 어떤정도이길래 초민감이라는 단어를 썼을까 궁금했다. 책에서 언급하는 사람들의 문제는 상상 이상으로 심각했다. 등껍질 없이 태어난 민달팽이라는 단어를 보고서야 갑자기 그들의 고통이 느껴지는듯 했다. 민달팽이가 된 상상을 해보니 그 쓰라리고 온 몸으로 고스란히 겪어야 했을 고통들이 전달 되는 기분이랄까.

둔감한 편이라 타인의 마음을 잘 공감하지 못했었다. 그리고 나 자신도 고립감과 외로움을 별로 힘들어하지 않는 편이었다. 물론 어리고 젊은 시절의 얘기다. 나이가 드니 한가지 변화된건 인생의 어려움들을 겪어 봐서 그런것인지 타인에 대한 공감력이 커졌다는것이다. 특히 슬픔에 대한 감정에 더 예민해져서 울컥하곤 한다. 나이가 먹으면 그래서 눈물이 많아진다고 하는가 보다.

원래 내성적이던 성격은 사회생활을 하다보니 외향적으로 변했다. 그래서 난 초민감과는 별 상관이 없는줄 알았는데 책속의 초민감 테스트를 해보니 의외로 중간의 결과가 나왔다. 이것 역시 세월이 만들어 낸 결과 같다. 시간이 됐던 훈련이 됐던 바꿀수 있다는 말이다. 책속에 그에 대한 해답들이 담겨 있다.

저자 역시 초민감자이기에 누구보다 더 그 고통을 잘 알것이다. 그가 극복한 초민감자들을 위한 해법은 무엇일까? 생각보다 많은 이들이 초민감자들임을 책을 통해 알수 있다. 유명한 이들도 마찬가지이며 그 사례들도 알려준다. 에너지 뱀파이어는 꼭 초민감자가 아니라도 경험했을터이라 많은 공감이 가는 글이다. 그 밖에 초민감자들을 위한 다양한 조언들을 들려 준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초민감도 재능이며 축복이라 말한다.

초민감자에겐 커다란 도움이 될 책이며 보통의 일반인들에겐 인간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필요함을 일깨워 준다. 겸손과 타인에 대한 공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