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시선 - 슈퍼리치는 어디에 눈길이 가는가
박수호.나건웅.김기진 지음 / 예미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부 기자 3명이 여러 수퍼리치들을 만나고 그 경험으로 수퍼리치가 부를 축적하는 과정이나 노하우를 알려주는 책...이 젼혀 아니다. 그들이 구입하고 쓰는 제품과 물건들은 무엇인지.. 진짜 부자는 어떻게 살까? 에 대한 궁금증에서 나온 책. 그래서 책은 그들이 사고 쓰는 물건들에 대해 보여준다.

얼마전 본 '한국의 부동산 부자들' 책보다 더 현실적이지 않다. 위화감을 넘어 그저 다른 세상 얘기로 들린다. 그게 정신건강에는 차라리 좋을것 같다. 부자들 대상 잡지의 쇼핑코너 보는 기분이랄까? 굳이 몰라도 되지만 호기심은 있는것에 대한 책. 그렇구나..하면 괜찮지만 여차하면 의욕상실할 책.

수퍼리치라면 대체 어느 정도여야 하는가? 책에서는 300억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런 사람이 전국에 1500명 가량 된다고 한다. 예상보다는 적은 숫자이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 사람이 더 많은것으로 생각 된다. 가족의 숫자로 확대되면 1만명 이상은 되지 않을까?

그들이 사는 물건에는 어떤것이 있을까? 대부분은 아는 브랜드지만 몰랐던 브랜드도 있다. 폴리폼같는 시스템 가구나 덕시아나가 그렇다. 저자가 폴리폼의 구입기를 가상으로 써놓았는데 집전체를 인테리어하는데 7억이 소요된다. 300억 부자한테 7억이면 3억가진 사람의 7백만원 느낌인가.. 억소리 난다.

덕시아나는 유명인들이 사랑하는 침대라 한다. 전세계 유명인사부터 셀럽들이 구입한다는데 3천만원 정도. 우리에게 익숙한 연예인들이 많이 구입했다. 요거는 그나마 좀 저렴하다. 이쯤되면 첫장에 나온 1만원짜리 파버카스텔의 연필은 애교로 보인다.

수퍼리치들은 단순히 고가의 것을 추구하는게 아닌 가치에 중점을 둔다고 한다. 나만의 것, 희소성 있는것. 그런면에서 롤스로이스의 구입은 수긍이 간다. 럭셔리보다 유니크함을 추구하는 외국의 수퍼리치도 그렇고 그들의 가치관은 우리들과는 많이 다르다.

한편으로 그들도 물건을 살때 우리같은 기쁨을 느낄까 하는 궁금증이 든다. 돈을 차곡차곡 모아 사고싶은 것을 샀을때 기뻐하는 일반인이 갖는 행복감. 그들에게도 그런게 있을지 궁금하다. 그들의 소확행은 우리의 것과 다를것이다. 소확행이라는게 있을까 싶기도 하다.

그들의 삶의 한면을 들여다 본것 같다. 그들이 먹고 마시고 자고 여행하고 즐기는것들을 보다보니 현기증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