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와 빈곤 - 산업 불황의 원인과, 빈부격차에 대한 탐구와 해결책 현대지성 클래식 26
헨리 조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명 - 진보와 빈곤
저자 - 헨리 조지 / 이종인옮김
출판 - 현대지성

140년전 쓰여진 이책이 아이러니하게도 현재에 꼭 필요한 책일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경제불황과 빈부격차를 겪고 있는 이 시대에 이 책은 어떤 해답을 들려줄것인가?

이것은 인간의 탐욕과 불평등에 관한것이다. 젊은 20대에 헨리 조지는 이미 그것들을 보았다. 그가 중년에 쓴 서문에는 그가 얼마나 이 책에 공을 들였으며 열정을 넘어 책임감까지 느껴지는 집요한 진지함이 담겨져 있는지 알수 있다.
사회가 진보할수록 빈곤은 늘어 난다는 헨리 조지의 말은 불행히도 사실로 확인된다. 멜서스의 인구론을 반박하며 왜 부가 늘어나면 빈곤도 늘어 나는지 그것에 대해 파헤친다.
국부론같은 기존의 경제원리서들을 인용, 때론 반박할정도로 그는 치열하게 연구하고 고민했다.

사피엔스에게 소유라는 문화가 생기면서 자본은 고용인과 노동자로 나뉘게 된다. 자본주의라는 희미한 시작이었을 원시의 모습은 인류의 진보와 함께 성장한다. 그것은 탐욕이라는 잔인한 모습으로 성장을 했고 불평등이라는 부산물을 낳았다. 과거 미국의 광활한 땅을 소유한 이들에게서 그것을 보았던 헨리 조지가 이 책을 쓰게 된것은 그 불합리에 대응하는 합리적인 분노였을것이다. 소유토지의 비정상적 활용과 비상식적 지가상승에 일갈하는 (모든 세금을 없애고 토지에만 세금을 물리는)토지단일세는 그런 이유로 주창했다. 그런 측면으로 본다면 개인의 소유를 불허한 사회주의는 합리적 이념이었다. 그렇지만 평등과 빈곤의 소멸이라는 합리적 이념은 결국 실패했다. 인간의 탐욕은 자본주의를 선택했다.

그렇다면 자본주의는 성공한것인가? 이 책은 그것에 일침을 가한다. 토지라는, 자본의 가장 원본적이고 대표되는것으로 그는 자본과 진보와 빈곤을 얘기한다. 그가 제시한 토지공유제는 현대에 와서는 협동조합이라는 비슷한 형태로서 이어지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극히 일부에서나 벌어지는 일일 뿐이다. 여전히 대한민국에서는 땅의 소유에 몰입하고 있다. 140년전의 책이지만 토지에서 형태만 바뀌었을뿐 자본의 불합리함은 여전히 유효하며 야만적이다. 인간을 도구로 전락시킨 자본의 비열함은 사회가 진보할수록 더욱더 잔인해졌다.

계급화 된 현대사회와 부의 양극화는 그가 140년전에 고민했던것보다 비교할 수 조차 없게 깊어졌다. 헨리 조지가 말하고자 한것은 결국 토지소유의 문제가 아닌 궁극으로는 자본주의의 문제다. 그는 토지에서 찾은 빈곤과 불평등과 자본주의의 불합리함을 알리고 고쳐 보려 했다. 그래서 전문가가 아닌 누구라도 읽고 알기 쉽도록 최대한 풀어서 썼다. 그의 진보사상이 담겨 있는 이 책을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그는 깨어있으라 우리에게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