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앞을 내다보는 선택을 하는 법
스티븐 존슨 지음, 강주헌 옮김 / 프런티어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인생에는 수많은 갈림길에서 선택을 해야하는 날들이 연속된다. 그 수많은 선택의 결과는 즉시 또는 시간이 한참이나 흐른후에야 알수가 있다. 좋은 선택이었다면 다행이지만 많은 이들이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경험을 해봤을것이다. 우리는 미래를 알수없기에 늘 선택을 앞두고 고민을 하게 된다.

스티븐 존슨의 이 책은 그 결정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책이다. 맨하탄의 연못 콜렉트 폰드의 결정이 어떤 미래를 가져왔는지.. 500년의 실수로 불릴만큼 잘못된 결과로 다가온 그 결정을 답습하지 않으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여러 사례와 방법들로 조언 해준다.

결정에는 즉흥성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걸려도 충분히 의논하고 심사숙고해서 결정해야 할 경우도 양립한다.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작전은 급습으로 짧은 시간 안에 성공으로 종결됐다. 하지만 그 작전의 결정까지 9개월이란 시간이 걸렸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수가 없었다. 어려운 결정일수록 많은 토론과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하지만 집단지성의 힘은 거대하지만, 때로는 편향적 인간관계에 따른 집단사고로 인해 잘못된 판단을 할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는 결정권을 가진자의 이기적사고와 그에 찬양하는 이들의 그릇된 동조가 어떤 결과로 다가오는지 우리는 대운하에서 4대강으로 둔갑한 국가사업에서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500년의 실수는 남의 일만이 아니다. 지금은 기술과 과학의 발전으로 결정을 예측해보는 시뮬레이션이라는 과정을 가지게 된 시대다. 우리의 결정을 도와줄수 있는 도구는 다양해졌고 더욱 발전하고 있다.

이 책은 고맙게도 조언들을 세분화 해서 전해준다.
다수를 위한 결정과 개인을 위한 결정을 각각의 챕터에 담아서 제시한다. 그리고 우리는 더 멀리 내다 볼 수 있다며 용기와 긍정으로 흐믓하게 마무리 된다.

결정장애라는 말이 있다.
당장 오늘 점심은 뭘 먹는지부터 수도 없는 선택과 결정들이 기다리고 있다. 오죽하면 대신 결정해주는 곳이 생겨날 정도일까? 미래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위한 혜안이 이제 조금은 넓어지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