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 성격 급한 뉴요커, 고대 철학의 지혜를 만나다
마시모 피글리우치 지음, 석기용 옮김 / 든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기억에서도 희미한 스토아..스토아 학파.
이 거의 잊어버린, 사실 아는것도 없는 스토아주의에 관한 책은 너무나 신선했다.
단편적 배움과 기억속의 스토아라는것에 대해 얼마나 편협하고 무지했었던가 확인하게 했다.
실천주의적 사상인 스토아주의에 빠진 저자가 스스로를 성격 급한 뉴요커라 표현하며 말하는 내용들은 뉴요커보다 오히려  더 급한 우리들에게 더 필요하고 유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철학책이니 당연히 난해하기도 하고 어렵지만 의외로 재미있고 편하다. 그렇다고 대번에 이해할정도로 쉽기만한 책은 절대 아니지만.
틈틈히 여러번 꺼내어 읽어야 할 책이다.
철학사상을 책 한번 읽었다고 마스터 한다는건 너무나 편리한 생각이 아닌가?

금욕주의로만 간단히 암기된 스토아주의에는 네가지 덕목이 있다.
지혜,용기,정의 그리고 절제.
금욕은 다르게 말하면 절제이고 인내이다.
교과서적인 네가지 덕목에 대해 또 다른 깊은 생각을 해보게 된다.

화실에서 뎃생을 하게되면 만나는 석고상이 하나 있다.
남루해보이는 얼굴의 노인상.
어릴때 정작 그를 그리면서도 그에 대해 아는것이라고는 세네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었다는것 뿐.
짐작으로 사상가나 철학자인가보다라고만 했던 기억이다.
책을 읽고 나서야 그의 표정이 왜 그랬었는지 조금은 알것 같다.
뿌옇기만 했던 스토아주의에 대해 약간의 안개가 걷히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