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 우리 아이와 돈 이야기를 시작할 때 - 수십억 유산보다 더 가치 있는 엄마표 금융 교육을 시작하라!
박정현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돈에 대한 개념을 일깨워 주고 싶어 외부에서 진행하는 #어린이경제교육 에 관심이 많다.

대부분 고학년 대상이라 아쉬웠는데 금융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의 이해가 가능해지는 13세 정도가 #금융교육 의 적기라고 한다.

경제 지식이 없는 엄마가 집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은 한계가 많다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엄마가 최고의 선생님이라고 알려준다.

돈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상황 속에서 금융에 대한 이해를 이야기로 풀어가는 것이다.

어릴 때부터 부에 대한 가치관을 제대로 갖출 수 있다면 제 힘으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훌륭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학교 공부보다 더 신경 써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제는 막연히 공부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금융에 대한 이해가 밝은 사람이 경제적 자유를 누리며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눈앞의 국영수 공부는 아이 미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내가 든든한 후원자가 될 자신도 없기 때문에 스스로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필요하다.



앨런 그린스펀은 '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 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문맹보다 더 무섭다'라고 했다.

종종 들리는 흉흉한 뉴스를 통해서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메시지가 아닌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자산을 모으는 재테크 교육이 아닌 '미래 자신의 삶에 필요한 돈을 제힘으로 꾸려가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다.

부에 대한 정의를 제대로 깨닫게 해주어 행복한 부의 씨앗을 심어주자는 것이다.

세계적인 투자 전문가 워런 버핏은 '조기 경제 교육이 평생의 부를 결정한다.'라고 했다.

유대인은 13세 성인식을 치르며 상당한 금액의 축의금을 받는다. 그 돈의 운용은 전적으로 아이에게 맡기고 부모는 조언자 역할을 한다. 운용 목적과 목표 금액을 산정하고 운용하는 기간이 짧다면 안정적인 예금과 채권 비중을 높게 두고 기간이 길다면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이자는 등의 조언이다. 그 과정에서 진로와 금융, 투자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다.


Part 1, 2에서는 돈에 대한 인식 변화와 금융 교육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Part 3에서 아이들에게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금융 교육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가 고학년 학생들과 함께 한 금융 수업내용을 담아 아이와 돈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갈 수 있는지 사례를 보여준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가정에서 아이와 어떻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지 대략적인 감을 잡을 수 있다.

실질적인 실천을 위해 제일 눈여겨 봐야할 부분이다.
보고 듣고 말하는 모든 것이 금융 교육이 된다.


기계와 로봇이 대체할 수 없는 하이브리드 인재로 키우기.

서로 다른 요소들이 합쳐져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 '창의성', '개성'은 대체 불가능한 인간의 고유 영역이다.

무조건 1번을 지향하는 공부 동심원이 아닌 아이가 서있는 곳에서 새로운 동심원을 만든다.

저자가 진짜 말하고 싶은 것은 이 '동심원 만들기'다. 그 수단이 금융 교육이다.

'시간과 돈은 한정적이므로 삶에 긍정적인 위력을 발휘하도록 제대로 배워 활용하자'는 것.

오늘도 아이 덕에 공부하며 성장할 기회를 얻는 것 같다.

금융 교육을 항상 의식하고 깨어있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