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뒤락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9
애니타 브루크너 지음, 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워지지 않는 결여에 대한 의문 -호텔뒤락

 

'워킹맘은 가정에선 나쁜 엄마, 직장에선 왕따다.'는 기사 제목을 봤다.
여성이 일과 가정에 모두 매진할 수 있도록 전혀 뒷받침해주지 않는 사회제도를 비판한 말인데, 여성이 사회활동을 시작한 17세기부터 지금까지 전혀 바뀐 것은 없어보인다는 안타까운 현실에 한번 더 좌절하게 된다.

 

'직업은 자아 실현의 모습을 가져야 한다.'고 배웠다. 엄마나 아빠는 직업이 아니다. 그런데 둘 중 하나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니. 여성들로서는 어마어마한 생의 압박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한 생명을 책임지는 엄마의 역할을 잘 하자면 직업적 성취를 이룰 수 없고, 그렇다면 '어머니'가 아닌 오롯한 '나 자신'으로서의 성취는 불가능한 것일까? 사회적 복지가 전혀 보장되지 않는 이런 상황의 딜레마에 대해 소설은 계속해서 의문을 던진다.

 

 주인공 이디스는 로맨스소설을 쓰는 성공한 작가다. 그럼에도 결혼식을 망쳐버린 그녀는 스스로에게 벌을 주듯 호텔 뒤락으로 간다. 휴가철이 끝난 무렵의 호텔에서 그녀가 마주하는 '여성'들은 가정이라는 체제 안에서 자기 스스로의 정체성과 성취를 묻은 채 사치를 즐기는 사람들과, '어머니'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가정'안에서까지 쫓겨나 결국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거식증 여성이다.

 

하지만 이제는 가엾은 우리 엄마라고 생각해요. 나이가 들면서 삶이 돌려준 그 슬픔과 혼란스러움과 외로움을 알게 되었거든요. 어머니는 내게 자신의 무지몽매함을 그대로 물려주었어요. 가혹하고 실망스러운 현실 속에서 어머니는 로맨스 소설을 읽으며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단순하기 그지없는 연애담으로 위안을 얻었지요.
... 어머니가 책에서 눈을 들면 그 눈빛도 푸른색에서 회색으로 바래 있었어요. 꿈과 그리움과 환멸에 가득 찬 눈빛이었지요.


 

그녀의 어머니, 어머니의 어머니로부터 내려온 이 공허감. 이것은 아주 오랫동안 여성들이 당면해 왔던 문제일 것이다. 작가는 모든 여성의 대변자로서 가정을 빼고 '한 사람'의 여성에게 남는 것. 혹은 '자신'을 이루고자 하는 한 사람의 여성에게 있어 '가정'이 얼마나 큰 압박으로 다가오는지를 묻는 것이다. 어떤 한 편에 서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문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작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그 답은 있을까? 너무나 비현실적이어서 우리는 답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 아닐까. 

 

'버지니아 울프'처럼 '자기만의 방'을 갖게 된 이디스. 그러나 그녀는 묻는다. '자기만의 방'으로 채워지지 않는 어떤 결여는, 정체가 무엇이며 어떻게 채울 수 있을까. 버지니아 울프는 그녀를 사랑하는 남편이 함께였고, 그녀를 인정해주는 동료 남성들이 함께 있었다. 그러나 버지니아 울프가 아닌 다른 여성이 주위 남성들에 의해 어떤 인정도 받지 못한다면 어떨까. 그녀가 '그녀'스스로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인가. 여성과 공존하는 남성이 반드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다. 여성에 대한 배려의 차원이 아니라 여성을 동반자로 삼기 위한 의무이다.

 

이 의문이 다음 세대에도 똑같이 유효해서는 안된다. 그렇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