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만든 왕따, 소아비만 - 비만 쇼크, 박민수 원장과 함께하는 소아비만 탈출 프로젝트
박민수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이 통통해 보이면 건강해 보이고, 좋게만 보던 내 시선을 이제는 바꾸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우리 집에도 큰 아이만 삐쩍 말랐고, 두 놈은 좀 통통한 편이다. 워낙에 먹을 것을 좋아하다가 보니까, 배가 좀 나온 것이고, 그러다가 보니까 걷는 모습도 조금 뒤뚱거리기도 하고 그러는데, 저게 다 나중에는 키로 가겠지라는 생각에 별로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런데 그것이 이렇게까지 심각한 것인지에 대해서 이제야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다이어트가 필요한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심코 한두번 사주었던 패스트푸드가 아이들을 이렇게 망치는 줄은 몰랐다. 한달에 한번 정도 피자도 시켜주고, 때로는 아이스크림에 콜라를 비롯한 청량음료에, 과자와 사탕까지, 이런 것들이 아이들에게 이렇게 악영향을 끼치는 줄은 미처 몰랐다.
거기에다가 우리 아이들이 좋아하는 돼지비계이나 닭고기 껍데기가 그렇게 않좋을 줄은 미처 몰랐다. 부드러워서 아이들이 먹기 좋으니까 먹으라고 했는데, 이것들을 먹이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이제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설탕 중독이 이렇게 심한 줄은 미처 몰랐다. 설탕 중독을 끊어야 한다는 절박감을 느끼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나친 밀가루 음식 편향의 간식의 위험성도 알게 되었다. 라면 한 그릇의 위력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되었다. 그냥 편하다라는 이유만으로 아이들에게 손쉽게 해 주었던 그런 간식거리들이 아이들의 건강에 이렇게 악영향을 끼치는 줄 알았더라면, 왜 해주었겠는가?
텔레비전과 대중매체들을 통한 광고에 너무 무감각하게 노출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소금, 사실 간이 맞지 않으면 음식 맛이 제대로 나지 않는다. 그러기에 적당하게 간을 맞추어 먹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데, 모든 사람들이 싱겁게 먹는 것이 좋다는 것을 상식적으로 알기는 하지만, 그래도 맛이 제대로 나지 않기 때문에 소금으로 간해서 먹게 되는데, 그 소금이 정말 몸에 않좋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끼게 되었다.
그러면서 아내와 내가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우리는 좋은 부모가 아니었다는 것이었다. 이 책을 보면서 좋은 부모에 대한 생각을 바꾸게 되었고, 아이들에게 야채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절감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