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책감의 문제는 미안함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합병증처럼 번진다는
데에 있다. 자괴감, 자책감, 우울감. 나를 방어하기 위한 무의식은 나 자신에 대한 분노를 금세
타인에 대한 분노로 옮겨가게 했다. 그런 내가 너무 무거워서 휘청거릴 때마다 수현은 나를 부축해 주었다 (196).”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나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내 삶에 대한 자신들의 지분을
주장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를 때가 많다. 연락처를 묻고 종종 안부를 물어야 하나. 지금 간소하게 뭐라도 대접해야 하나. 아니면 성실히 살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고 ‘착하고 바른’ 사람이 되어야 하나. 그것도 아니면 행복하게 잘 살라는 건가.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보면 불쾌감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유원은 내가 때때로 느끼는 이런 불편함과는 비교할 수 없을 시간을
견뎌왔을 것이다.
유원은 좀처럼 실수를 하지 않는 조심성 많은 아이로 자랐다. 다른
아이들처럼 해맑거나 아무렇지 않아서는 안되었다. 모두 유원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행복을 바란다고 했지만
정말 행복하고 아무렇지 않은 듯 보이는 유원을 보면 의아해하거나 당황스러워 했다. 누구든지 타인을 다
도려낸 ‘나’일수는 없겠지만 언제나 다른 사람들이 나를 보는
것이 아니라 나를 통해 다른 누군가를 보고 나는 언제나 그 누군가 덕분에, 그 사람 대신 살아남은 것임을
느껴야 한다는 것은 나를 들뜰 수 없게 만들고 가라앉아 있는 상태를 예민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뭐든지
잘하고 나를 업어 키운 데다가 날 구하고 자신은 죽어버린 사람만큼은 아니어도 아무것도 모른다는 듯이 마음대로 살 수는 없다. 거기에 누군가는 주기적으로 찾아와 나의 선택이 아니었지만 부정할 수 없이 내가 망가뜨린 그 사람의 부분을 주물럭거린다면, 그 사람이 나를 구하지 않았다면 그리 이롭지 않은, 누군가에게는
오히려 해로운 사람이라면, 들떠서 내키는 대로 더더욱 살 수 없을 것이다.
제아무리 마스터키라도 들어온 후 밖에서 잠기면 쓸모가 없다지만, 직설적이고
‘쿨한’ 아이와 함께 있고 자식을 적당히 깎아내림으로써 보호하는
요령은 없지만 섬세한 엄마가 챙겨준 초코바 두개가 있다면, 옥상에 갇혀도 그 높이가 울렁거리지 않고
오히려 설렘, 전율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날 구해준
이의 눈을 피하지 않고 부탁을 솔직히 거절하고, 우산을 가지고 데리러 오겠다는 친구에게 선뜻 그래 달라고
부탁할 수 있다. 자신의 것을 아까워하지 않고 내어주는 사람에게도, 엄마, 아빠에게도 솔직하게 말하고, 쫓기는 게 아니라 내 걸음으로 멀어지거나
내가 쫓아가볼까 생각할 수 있다. 미안함에 짓눌려서 우울감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누구든 진심으로 대할
수 있다.
엄마가 사람 인(人)은
사람이 서로 기댄 모습이라고, 누구나 상부상조하며 사는 것이라는 말을 할 때마다 ‘싫은데? 아닌데? 왜?’ 생각하며 나는 독야청청이든 독야칙칙이든 혼자 알아서 할 것이라고 마음속으로 반항을 했다. 하지만 유원의 용기를 마주한 후 그렇게 어리광 피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안다. 있는 그대로 말해도 내 삶을 누군가의 그늘 아래 몰아넣는 것이 아님을 알고 고마운 것은 고맙다고 미안한 것은
미안하다고 싫은 것은 싫다고 인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