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폴란드인
J. M.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말하는나무 / 2025년 1월
평점 :
이 번 책은 처음 읽을 때 보다, 두 번째 읽을 때 더 좋았다. 이상하게 책을 다 읽었는데 덮어지지가 않는다. 자꾸 베아트리스와 폴란드인을 들여다 보게 되는 책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쿠시가 젊어서 쓴 소설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이든 쿠시 말고 좀 더 육감적이고 열정적이고 도전적인 쿠시는 어땠을까?.
책을 읽으면서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의 두 주인공이 생각나던 영화다. 그들처럼 뜨겁지는 못하지만 은근히 여운이 남는 소설이다. 이 소설도 영화로 나와도 좋겠다는 생각을 잠시 했다.
"오디너리.." 그가 말한다. "오디너리라는 말이 더 좋을지 모르겠네요. 나는 당신과 같이 살고 싶어요. 그게 내가 진심으로 원하는 거예요. 죽을 때까지 당신과 같이 살고 싶어요. 오디너리한 방식으로요. 나란히 말이죠. 그렇게요" 그는 자신의 두 손을 꼭 잡는다. "오디너리한 삶을 나란히 사는 것. 그게 내가 원하는 것이오. 항상 말이죠. 다음 생이라는 게 있다면 다음 생에서도. 그러나 그럴 수 없다면 받아들여야죠 만약 당신이 안 된다고 하고, 나머지 생애 동안은 안 되고, 이번 주만 된다고 해도 좋아요. 그것도 받아들여야죠. 그냥 하루라도 괜찮아요. 그냥 일 분이라도 괜찮아요. 일 분이면 충분해요. 시간이 뭔가요? 시간은 아무것도 아니에요. 우리에게는 기억이 있어요. 기억에는 시간이 없어요. 나는 당신을 기억 속에 넣어둘 거요. 그리고 당신도, 어쩌면 당신도 나를 기억할지 모르죠"
"물론 나도 당신을, 당신이라는 이상한 남자를 기억할거예요"
- P102
남자와 여자 두 극 사이에서는 전기가 튀든지 안튀된지 안다. 태초부터 그려 했다. 그냥 남자 여자가 아니라 남자 그리고 여자 그리고 없이는 결합이 없다. 그녀와 폴란드인 사이에는 그리고가 없다. - P74
우리 모두는 어딘가에 있어야 해요. 어디에 속하지 않을 수는 없으니까요. 그게 인간의 조건입니다. 하지만 그래서는 아니에요. 나는 당신 때문에 여기에 있습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는데 그게 무슨 뜻인가요? 저한테서 원하시는 게 뭔가요? 장신은 제게 피아노 클래스를 들으러 오라고 초대한 건 아니잖아요. 당신은 내가 당신과 자기를 원하나요? 그렇다면 단도식 입적으로 말씀드리죠. 이럴 일은 없을 거예요 - P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