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가족, 천 개의 표정 - 이순구의 역사 에세이 너머의 역사책 5
이순구 지음 / 너머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통한 역사 읽기

 

 

 이순구의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은 조선시대 다양하게 생성되고 발생한 가족의 모습과 그 가족에서 생활하는 이들을 통해 당시의 생활상과 제도를 그린 책이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조선시대 사람은 어떻게 살았는지를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다.

 

 

시대의 모습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간다. 조선시대의 가족의 모습이 지금과 다르고 전근대의 가족의 모습과 지금의 가족의 모습은 많은 차이를 드러낸다. 사회 구성원의 가장 작은 단위인 ‘가족’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구성원의 면면을 보면 당시의 사회상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부계중심의 가족은 임진․병자 양란 이후 성리학이 교조화되기 시작하면서 정착한 형태로 우리의 역사로 보면 그리 오래되지 않은 제도이다. 조선 중기 성리학이 정착되기 이전의 가족은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이라 하여 남자가 장가들었으며 지금보다도 여성의 지위와 상속권을 보장하였다. 이는 혼인이 개인 대 개인의 결합보다는 가문의 결합이 강한 성격이기 때문이다.

 

 작자는 역사를 볼 때 지금의 시각으로 재단하기 보다는 당시의 사회상을 통해 바로 바라봐야 한다고 하고 있다. 이를테면 성리학은 지금은 보수적인 유교이지만 당시에는 첨단 사상으로 그 사상을 받아들이고 그 사상에 맞는 삶을 살았다면 오히려 개혁적인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사임당은 현모양처라기보다는 자녀에 자신의 길을 찾아가도록 여유를 준 현재의 이상적인 어머니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강정일당, 임윤지당과 정부인 안동장씨등은 조선시대의 자신의 성취를 한 인물이며 자신의 도덕적 주체성을 갖게 한 인물로 보고 있다.

그 이외에도 제사를 지내기 위해 양자를 들이는 것과 재혼에 대한 새로운 시각, 가문과 가문과의 결합으로 인한 결혼은 이미 부부의 동등한 위치를 보장하고 있는 등은 흥미롭다. 흥미로운 작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면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의 모습이 부족한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으며 아울러 쏠쏠한 재미를 주고 있다.

 

 

 저자는 역사에세이를 통해 어쩌면 ‘도덕성’이란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싶어 보이기도 하다. 마지막에 우리가 도덕성에 열광하는 이유의 꼭지를 통해 도덕성보다는 능력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가치로 보고 있다. 물론 능력은 매우 중요한 잣대이다. 그러나 도덕성과 함께 능력이 중요할 것이며 어쩌면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은 보편적인 도덕성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