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 - 임석재 교수의 대중을 위한 건축 강의
임석재 지음 / 안그라픽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은 우리의 일상생활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건축을 이해하는 것은 당시 거주했던 이들의 삶의 모습과 생활방식을 엿볼 수 있으며 면면히 이어온 건축의 특징적인 면모를 살펴본다면 문화도 읽을 수 있다. 이를테면 우리의 전통건축인 한옥의 구성과 원리를 살펴본다면 우리 선인들의 삶의 모습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컬처그라퍼에서 출간한 임석재의 ‘우리 건축 서양건축 함께 읽기’는 1999년에 출간된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의 만남’의 개정판이다. 대상물을 비교하여 서술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동양과 서양 건축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잘 못 이해하는 경우에는 특정 건축의 우수성 내지는 편견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교를 통해 동서양의 특징적인 면모를 부각시킨다면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작자는 동서양의 건축의 비교를 통해 동서양이 공통적 존재하는 가치와 특징을 읽고 있으며 동서양이라는 두 문명을 상호보완적으로 바라보며 서술하고 있다. 즉, 우리 건축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서양의 건축과 비교함으로 현재와 미래의 건축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크게 건물구성요소, 건축의 구성원리, 건물의 감상법의 총 3개의 큰 주제 하에 18개의 작은 꼭지로 이루어져있다.   1부에서는 건물의 구성요소인 지붕, 처마, 기둥, 돌, 담, 문 등의 직접적으로 보이는 구조물을 설명하고 있으며 2부는 건물의 구성 원리로 건축 주변의 자연공간의 배치와 조화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3부의 건물의 감상법은 조금 더 전문적인 예술적인 관점에서 건축을 감상하는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리고 건축을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컬러 도판을 싣고 있어 건축을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느끼게 하고 있다. 

서구와와 근대화라는 미명하에 편리하고 유용하다는 이유로 국적불명의 콘크리트 건물이 무질서하게 세워졌다. 이제는 실용보다는 문화와 철학이 담겨 있고 사람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이 보고 싶어진다. 그 곳에는 우리의 삶의 모습과 방식과 오롯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