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 - 개정판
셔윈 B. 뉴랜드 지음, 명희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마다 삶의 과정은 각기 다르지만 그 마지막이 죽음이라는 것은 공통적이다. 그러나 “죽음에는 수 만개의 문이 있다.”라는 말이 있듯 그 죽음을 맞이하는 이유, 과정, 방법은 모두 다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렵다는 생각만 할 뿐 진지하게 고민하거나 생각은 잘 하지는 않는 편이다. 그러나 죽음은 내가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없이 언젠가는 나의 일일 것이다.

‘사람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는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면서 죽음이 갖는 의미를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지은이는 인간의 죽음을 곁에서 지켜본 의사로서 그 들의 삶을 마치는 과정을 관찰하여 우리에게 삶과 죽음의 의미와 가치를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 가장 흔한 질병인 심장질환, 뇌졸중과 알츠하이머, 살인, 자살, 에이즈와 바이러스, 암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이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작자는 이를 통해 우리가 각종 질환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알고, 그 질병의 과도한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나 헛된 희망에 매달려 마지막 시간을 허비하지 않으며 죽음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죽음은 결코 우리 계획에 따라 오지 않는다. 우리의 예상을 뒤엎으며 찾아든다. …
자연은 자신이 갈 길을 묵묵히 갈 뿐이다. 모든 생물의 세계는 각 세대가 다음 세대에 의해 교체되는 질서로 형성되어 있다. … 자연의 도도한 순환과 무자비한 힘에 대항할 때 그곳에는 패배만이 남을 뿐이다.(p380)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자연의 순환에 대항하며 죽음에 대한 공포에 벗어나 영원히 살고자 하는 이들을 보아왔다. 그러나 결국은 부질없는 일이 되어 버렸다. 죽음이 결코 반가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언젠가는 다가올 일 그 죽음을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는가가 가장 중요하다.
이 책을 통해 죽음과 관련된 질환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그리고 다른 이들의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과 남겨진 가족들의 모습을 통해 삶의 소중함과 아울러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죽음! 이왕이면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해야 하지 않는가? 그 죽음에 대한 생각을 긍정으로 바꿀 수 있는 힘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