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와 칼 - 일본 문화의 틀
루스 베네딕트 지음, 김윤식.오인석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을 다룬 책 중에 클래식으로 꼽히는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올해 처음으로 다 읽은 책,

아이러니컬하게도 실제로 베네딕트씨는

단한번도 일본을 방문한 적이 없다고 한다.

 

이 책을 읽고 내가 느낀 2가지는

첫째, 일본은 이중적이다.

둘째, 일본은 기회주의적이다.

그게 좋거나 나쁘다라는 게 아니라 그냥 그렇다는 거다.

 

일본인은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배우와 예술가를 존경하며

국화를 가꾸는 데 신비로운 기술을 가졌지만,

동시에 칼을 숭배하며 무사에게 최고의 영예를 돌린다.

 

그들은 최고로 싸움을 좋아하면서도 얌전하고,

군국주의적이면서도 탐미적이고,

불손하면서도 예의바르고,

완고하면서도 적응력이 있고,

유순하면서도 시달림을 받으면 분개하고,

충실하면서도 불충실하고,

용감하면서도 겁쟁이이고,

보수적이면서도 새로운 것을 즐겨 받아들인다.

자기 행동을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놀랄만큼 민감하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이 자기의 잘못된 행동을

모를 때에는 범죄의 유혹에 빠진다.

 

일본의 행동 동기는 기회주의적이며,

일본은 사정이 허락된다면 평화로운 세계 속에서

자기 위치를 구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무장 진영으로 조직된 세계 속에서 자기 위치를 찾을 것이다.

 

일본은 군국주의의 실패 이후 군국주의가

세계의 다른 나라에서도 실패할 것인가를

알기 위해 다른 나라의 동정을 주시할 것이다.

 

만일 실패하지 않는다면 호전적 정열을 다시 불태워

일본이 전쟁에 얼마나 많은 공헌을 할수 있는지를 보일 것이고,

실패한다고 판단된다면 제국주의적 침략 기도는 결코

명예에 이르는 길이 아니라는 교훈을 얼마나 뼈저리게

체득했는가를 증명할 것이라는 저자의 성찰은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에도 간과할 수만은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