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헨리 조지 100년만에 다시 보다
이정우 외 지음 / 경북대학교출판부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은 정직하게 노동의 결과밖에 인정하지 않으며 노동의 결과라면 사람을 가리 지 않고 인정한다. 자연의 법칙은 창조주의 법칙이다. 자연법은 노동의 권리 외에 어떠한 권리도 인정하지 않는다. 토지의 개인 소유를 인정하면 타인의 자연권은 부 정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토지의 사적 소유가 타인의 자연적인 노동권을 제한하 거나 타인의 노동생산물의 일부를 정당한 이유 없이 전유하게 되는 불의를 초래한 다. 이러한 불의는 반드시 부의 불평등한 분배로 나타난다. 노동은 토지를 이용하 지 않고서는 생산할 수 없으므로, 토지이용의 평등한 권리가 부정된다면 필연적으 로 노동이 자기 생산물에 대해 가지는 정당한 권리는 부정되어 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리 조지 100년만에 다시 보다
이정우 외 지음 / 경북대학교출판부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윤리적인 관점에서 볼 때 토지에 대한 배타적 절대적 소유권이 정당한 권리로 인정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소유에 대한 정 당한 권원은 모두 생산자의 권원과 인간의 자기 자신에 대한 자연권에서 도출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사랑보다도 증오에 의해 맺어진다.
인간의 연대는 사랑이 아니라 공통의 적을 만듦으로써 가능해진다. - P2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종교이건 불완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고구마, 군고구마아, 따끈따끈한 군고구마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