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여자 1 - 20세기의 봄
조선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류 역사에서 가장 어두웠던 시기-유럽의 동쪽과 서쪽에서 코뮤니즘과 나치즘의 이름 아래 두 개의 팽창주의 파시즘이 학살을 밥 먹듯 하던 1930~40년대는 20세기에서 가장 참담한 시기였다.(본문 366쪽) -를 치열하게 사는 세 여자의 이야기를 읽으며 역사와 동떨어진 듯한 나중심적이고 편협한 삶을 살아온 것에 대한 미안함이 들었다.
억압과 혼돈의 시기를 사는 피지배민족으로 누릴 수 있는 기득권을 버리고 ‘최선의 인간(394쪽)이라고 선택한 공산주의자를 택한 세 여자의 삶!
˝인간의 이기심, 자본주의의 악마성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만든 방부제가 소비에트인데 결국 인간의 어리석음에 방부제가 없는 것일까.‘라는 정숙의 말이 권력를 향한 인간의 탐욕으로 이미 공산주의의 미래 모습을 보았기에 참 가슴이 아프다!

내 삶에 새로운 시작이었던 1991년 4월 서울을 에필로그로 시작된 책! 표지의 사진과 새 여자의 행로를 표시해 놓은 지도를 보며 ‘도대체 무슨 책일까? 르뽀형식인가?‘몇 번이나 앞장과 지도를 살펴보았다. 심지어 바랜 옛날 사진 때문에 작가이름인 줄 모르고 ‘조선의 장편 소설‘인줄 알았다 !

2편을 마저 읽어봐야 정리가 되겠지만 세 여자가 함께 했던 20세기의 봄은 봄으로서 끝나기도 하고, 여름까지 이어지기도 하고 제법 길게 새 시대 속에 스며들어 꽃을 피우며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한 것 같다.
고명자에 관한 이야기는 그녀 홀로 20대 사진인 것으로 보아 인간 한계의 장막에 부딪혀 더 진전될 것 같지 않아 씁쓸하고 마음 아프다. 희생과 도전이 꽃 피우지 못하고 꺽였을 때의 비통함과 상처가 쓰리다.
주세죽에게서는 ‘노란 목도리를 둘러 준 소녀상‘ 이 연상된다. 역사에 의해 유린 당한 우리의 아픔이 몽실몽실 피어오른다.
˝이제 진정으로 내 딸이 아니라 국가의 딸이 되었구나. 그것도 조선이 아니라 소련의 딸이 되었구나.˝라는 그녀의 울림이 가슴 저리다. 조선의 독립을 위해 바친 그녀의 삶에 주어진 처참힌 보상들!
국가의 딸! -국가라는 권력에 의해 사상과 행동이 통제되고 조정당할 수 있는 비독립된 인격체-라고 의미가 느껴진다.

반면 허정숙의 삶은 가장 당차고 시원하다. 공산당에서조차 좁은 입지였던 여성으로서 선구자적인 행보를 보인다. 여장부로서 헌영과 논쟁을 벌일 때도, 감옥에 들어가기 전 자녀들과 어머니를 위해 세심하게 준비하는 것도, 실질적인 대안을 가지고 활동하는 것도, 가차없이 떠날 때 떠나더라도 자녀들을 세심하게 양육하는 것도 참 멋지다.
2편에서는 허정숙의 이야기가 더 기대가 된다. 에필로그 1991 평양은 그녀의 이야기가 아닐까?

코로나19로 인한 급박한 상황때문에 2편음 언제 다 앍을 지 모르게ㅛ다.

˝정치에 최선은 없소. 차선을 택하는거지.˝라는 창익의 말이 총선시기와 맞물려 묘하게 공감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