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991년 서울 : 내게 1991년 4월은 한 달 내내 애타게 기다리던 첫 발령을 받아 교사로서의 첫 발을 내디딘 때이다. 베를린장막이 무너진 이후(1989.11.16)라는 기억은 있는데 한소수교로 고르바초프가 방문한 때인 것은 전혀 기억에 없다. 정치에 대한 관심도 적은데다 새로운 세계에 대한 설레임과 두려움이 더 커서였을까?

1920년대 여자들의 단발은 과연 핫이슈. 1895 을미년 단발령 때 남자들은 머리를 자르느니 목을 치라며 자결하기도 했고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남자들이 상투를 자를 때 그것은 봉건왕조와의인연을 자르는 일이었지만 지금 여자들이 쪽진 머리를 풀어 자르는 것은 ‘나, 독립된 인격체요‘ 하는 1인시위였다.
삼종지도의 여자들이 숨죽인 채 물밑에 빙산처럼 잠겨있었지만 그 꼭대기에서 한 줌의 여자들은 이광수의 <무정>을 읽고서 자유연애주의자가 되었고 입센의 희곡에서 읽은 대로 인형의 집을 뛰쳐나갔으며 사상단체에 가입해서는 맑스걸 엥겔스레이디가 되었다.
 비비안나는 어머니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다. 그녀는 어머니의 침묵이, 그 고독이 무서웠다. 어머니는 살아서 고독했고 죽은 뒤에도 고독했다. 어머니를 그런 무서운고독 속에 살게 만든 건 시대였다. 하지만 단 한 점 혈육이었던 자신도 어머니에게 적대적이던 그 시대에 가담했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었다.

1. 부부가 되어 무산자계급 해방에 일생을 바칠 것을 맹세합니까? 1920년 상해:
2. 수예시간에 톨스토이를 읽었답니다.1924년 경성
3. 청요릿집의 공산당, 신혼방의 청년동맹 1925년 경성
4.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지날 때 1927년 경성
5. 마침내 혁명의 심장에 도착하다 1928년 모스크바
6. 자본주의 세계의 종말이 머지않았소 1929년 경성
7. 상황이 우리를 같이 살게 만들었어요 1932년 상해, 모스크바
8 .나 간다고 서러워 마라 나의 사랑 한반도야  1935년 경성
9. 이곳이 당신들의 종착역이다 1936년 모스크바, 크질오르다
10. 일본 형제들이여, 그대의 상관에게 총구멍을 돌려라1938년 무한, 연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