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의 밥도둑
황석영 지음 / 교유서가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입담가 황석영 작가가 먹는 이야기를 풀었다. 한동안 대한민국에 불어온 먹방 열풍에 내로라하는 쉐프와 작가들이 이미 먹는주제로 책을 다 내놓은 마당이라 제 아무리 황석영 작가라도 요리와 밥친(밥먹는 친구)이야기만으로 더 쓸게 있을까 싶었는데, 책을 덮고 나니 거장은 거장이구나 싶다.

 

   먼저 그가 차린 밥상을 들여다보자. 작가의 고향이 이북인 덕에 노티같은 지금은 맛보기 힘든 이북요리부터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나는 찌고 굽고 말린 생선과 나물, 삭히고 묵힌 장아찌와 젓갈, 고소한 잡곡밥과 얼큰한 찌게에 감옥서 만든 밀주까지 곁들여졌다. 여기에 스파게티와 피자, 빵처럼 익숙한 독일과 스페인, 이탈리아의 요리들과 이국의 가정식들이 함께 차려져 있다. 그 널찍한 밥상만큼이나 함께 먹을 것을 나누었던 사람들도 많았으니 작가의 독특한(?) 이력 덕분에  투옥 당시 잔일을 봐주던 소지부터 감방동기, 가족과 친구, 첫사랑에 김일성 주석까지 갖은 인연의 사람들이 그의 밥상에 앉았다. 이렇게 요리와 사람이 가득하니 이야기는 끝없이 이어진다.

 

실내에서는 다른 제소자들 눈이 있으니까 '만기방'이라고 부르는

  석방 이틀 전에 나가서 묵는 독립 사동에 가서 연탄아궁이 불에다

  부참개를 부쳤다. 머리 위로는 싸락눈이 풀풀 날리고 

  우리는 아궁이 앞에 쪼그리고 앉아서 마가린을 프라이팬에 녹여

  김치를  섞은 밀가루 반죽을 부어서 부쳤다. 

  역시 김치부침개는 잘 익으면 가장자리가 아삭거리고 고소하고 제일

  맛이 있다. 거길 떼어 먹다가 바라보니 준식이 눈에 눈물방물이

  고여있다가 툭 떨어진다.

  "왜 그래. 뜨거워서 그러냐?"

  "아니요?

  "그럼 뭣 땜에 그래?"

  "어머니가 생각나서요.

 

 

  밥을 먹는 것은 인간의 본능의 행위이고, 결국 몸의 기억이다. 그래서 밥을 함께 먹은 사람과 그 때의 풍경은 몸이 기억해 잘 잊혀지지 않는다. 작가가 불러들인 달고, 쓰고, 시고, 짠, 때로는 혁명과도 같은 맛의 기억도 결국은 사람에 대한 기억이기에 작가는 진정한 밥도둑은 나눠 먹는 밥이라고 말했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