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 제20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책장을 덮고 한동안 제목을 다시 보았다.

 

제목 속에 소설의 모든 내용이 담겨져 있다는 것을 다 읽고야 알았다. 책을 놓을 때까지 한 귀나 겨우 맞추었을까 사방에 흩어져 있던 퍼즐이 순식간에 맞춰지는 느낌이었다. 남자와 같은 이름을 가진 사내가 했던 이동 양봉이 아주머니의 미래가 되고, 지하철과 버스, 셔틀버스를 타고 영훈이를 추모하러 가던 길이 남자를 추모하러 가는 길이 되는 풍경. 확고하게 자신만의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을 가진 모두가 피해자인 인물들이 그 확고함으로 가해자가 되는 모습. 결론은 남자의 말처럼

 

 

인간이라는 건 결국 패턴

 

   

이라는 사실이었다. 남자는 이미 알고 있었다.

 

선도, 악도 아닌 패턴의 문제라는 것을,

반복되는 패턴의 사슬을 어느 지점에서든 잘라주어야 끝난다는 것을.

결국 남자는 자신의 피로 그 사슬을 잘라 주었다. 아주머니는 아들의 억울한 죽음을 증명하던 스크랩북을 버리고 과거에서 현실로 돌아왔고, 여자의 엄마는 바람난 남편을 기다리던 허름한 집에서 나와 한강이 보이는 아파트로 들어왔다. 여자는 어디로 왔을까. 책 초반에는 가장 굵은 패턴의 쇠사슬을 스스로 발에 채운 사람을 아주머니로 보아왔는데, 어느 순간 그 사슬을 차고 있는 사람은 여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 중 누구와도 닮지 않은 특별한 존재로 태어났으나, 그 사실을 알아주지도, 알고 싶어 하지도 않는 가족들 대신 가면을 쓰고 학교와 친구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그 연극마저 지칠 무렵 자포자기해 평범한 직장인이 된 여자. 불행한 운명을 가진 자신에 대한 연민으로만 세계를 기억하는 여자는 자신과 같은 이름의 보람에게, 그리고 남자에게조차 또 다른 모습의 영훈이자, 아주머니였다. 결국 같은 패턴을 가진 여자와 아주머니는 스스로 시지프스가 되어 과거라는 돌을 굴리며 산 정상에 올라가, 정상에 있는 남자에게 폭력과도 같은 고해성사를 했던 것인지도. 결국 남자의 죽음으로 여자와 아주머니, 여자의 엄마와 영훈의 아버지, 편집장과 시간여행자와 역사도둑의 작가는 모두 돌을 굴리는 것을 멈추었고, 여자는 자유나의 시간을 살고 싶다는 소원을 이루었다. ‘위대한 개츠비에서 아름답고 속물인, 사랑할 가치가 있는 여자인지 묻게 되는 데이지를 위해 스스로의 죽음을 예감하며 파티를 여는 개츠비를 바라보듯이

 

너를 만나기 위해 이 모든 일을 다시 겪으라면,

 나는 그렇게 할 거야.’

 

라고 말하는 남자를 바라보며 나는 이 책이 왜 나의 마음에 남는지를 알 수 있었다.

 

너는 누구였어. 도대체?

 

여자의 물음처럼 우리는 과연 누구이며, 언제를 살고 있는 것일까? 어디에 살고 있는 것일까? 나는 지금, 이 세계에, 나로서 존재하고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되물으며 시간과 공간이 일그러지는 그믐을 기다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