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흔들리며 흔들거리며 - 탁현민 산문집 파리에서 모그바티스까지
탁현민 글.사진 / 미래를소유한사람들(MSD미디어)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책이 나오자마자 주문했다.
콘서트 현장에서 보았던, 그 약간은 건들거리고, 자신만만했던 탁현민...그의 오늘이 궁금했다.
단 하루였지만, 참 많은 것을 바꾼 하루였다.
그가 그랬듯 나도 단 한 번도 의심하지 않았다. 그래서 더 아프고, 좌절했던 건지 모르겠다.
어쨌거나 나는 그의 '좌절'의 시간과 극복을 생각하며, 이 책을 펼쳤고.
아놔. 웃었다.
그는 파리의 한 카페에서 티스푼을 훔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가 하면,
미용실에서 (물론 옷가게인줄 알았다지만) 손님들이 걸어둔 옷을 파는 걸로 착각해 구경하고 다니거나,
반나체로 '강제출국' 보다 더한 '강제자살'의 위험을 겪으며 베란다에 서 있고 있었다.
지인이 지갑을 잃어버리면 '내가 아니라 다행이다' 정도로 생각하는
이 뻔뻔하고, 염치없는 남자의 이야기에서 이렇게 생각할 뻔 했다. 괜히 걱정했네. 아오 빡쳐!
물론 그는 괜찮친 않았다. 의심하지 않았고, 간절했는데...
그런데 왜, 모든 간절한 사람들은 왜 이리 초라해 보이는 걸까?
간절함은 사람을 왜 이렇게 추레하게 만드는 걸까 싶더니만,
갑자기 정말 황당하게도 눈물이 났다. ...(중략)...
토요일 오후 노트르담 성당에서 였다.
|
졌으니까.
이겨도 멋지게 이기고, 져도 멋지게 져야 한다고 늘 생각했었는데,
막상 지고 나니 세상에 멋지게
지는 것 따위는 없었다. 지는 것은 그저 슬프고, 처량하고, 궁상맞고, 후회스러운 일일 뿐이었다.
...그래서 졌다는 것을 인정하기까지의 시간과, 졌다는 것을 확인하는 시간들,
왜 졌는지를 생각해보는 것까지 그 모든 절망의 시간들은 다만 고되고, 고되다.
|
그의 프로덕션은 문을 닫았고, 사람들은 책임을 이러저리 넘기며 상처를 후비고, 어쨌건 졌으니까.
기분 좋을리는 없잖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쨌건 이 책은 재밌다. 힐링을 강조하며 나온 그 어느 책보다 나에게 힐링이 되었다.
김어준을 닮은 프랑스 아줌마의 뒷모습 사진은. 그야말로. 빵 터진다.
웃음이 있는 절망을 아는 그이기에.
탁현민 그는 괜찮아 보인다. 함민복의 시처럼,
흔들리지 않으려고 흔들리는, 흔들려서 덜 흔들릴 수 있었던 나무처럼
그에게는 단단한 중심이 있고, 그래서 그의 글은 아픈 듯 하지만, 피식 웃기고, 껄껄 웃긴다.
건들거리던 그가 흔들거리는 모습도 볼 만하다. 괜찮은 것 같다.
의외로 여느 작가 못지 않은 필력이 있어 , -신춘문예를 준비했던 사람이었다. 그는. 이것도 웃어야 할 대목아닌가- 읽는 내내 지루할 틈 없이 읽었다. 이 기회에 소설 하나 쓰셨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며,
책을 덮고 존 레논의 'imagine' 을 들었다. 우리는 금메달은 못 땄지만, 들을 만하지 않나 하는
생각과 함께. 간만에 힐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