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철로 된 무지개
이중세 지음 / 팩토리나인 / 2023년 11월
평점 :

2078년 겨울, 한반도 연방의 평양
#서평도서 #책리뷰
📘강철로 된 무지개
-이중세/팩토리나인
2064년, 북한의 김정은이 쿠테타로 쫓겨나고 젊은 장교들은 개혁개방을 시작한다.
2068년 남한과 북조선은 두 개의 국가를 유지한 채 하나의 연방제를 이루기로 했고,
그로부터 3년 뒤 남북을 넘나드는 수사 조직 ‘연방수사국’이 설립되었다.
이름만 거창한 연방수사국은 양측에 대한 정보 접근권을 가질 뿐, 남한 경찰과 북조선 공안 모두에게 경계 대상이다.
그런 조직에서도 버려진 외로운 늑대 이영훈은 피해자 신상 파일이 잠겨 있는 3건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던 중, 신상 파일이 잠긴 또 다른 사건을 조사하라는 명령을 받고, 그를 감시하기위해 배치된 후배 박세욱과 함께 현장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만난 북한 공안 안은경은 전혀 협조적이지 않고, 심지어 그녀에게 들은 피해자의 이름은 상부로부터 전해 들은 피해자의 이름과 달랐다. 북한 공안은 AI의 판단에 따라 사건을 자살로 판단하고 철수하는데, 현장에 남아 있던 박세욱은 죽은 피해자 김태성의 전화를 받게 된다.
“나는 자살하지 않았소. 나 김태성은 살해당한 거요! 내 아내 진미옥과 대화를 해보시오”
이야기는 2048년과 2078년 12월의 평양을 오가며 전개된다. 피해자의 신상이 잠겨 있다는 것 외에 연계성이 전혀 없어 보이던 각 사건은, 이영훈이 파일에 접근할 힘이 있는 옛 상사 장남수를 찾아가 실마리를 찾자 급물살을 타기 시작하는데.
다시 찾아간 사건 현장에서 재회한 예상치 못한 인물은 과연 누구일까?
그리고 살인 사건의 진범은?
💧중심 사건의 흐름 뿐 아니라 각 인물의 서사도 탄탄하고
미래 가상 시점의 이야기지만 현재 남북 정세를 토대로 이루어졌기에
실제로 미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체제라면 분명 일어날 법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소설은 먼저 발표된 연극 대본 <강철로 된 무지개>를 각색하여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후에 다시 영화로 만들어져도 멋질 것 같다는 상상을 해봅니다.
💧서평단 활동으로 쭈욱 논픽션만 읽다가 오랜만에 소설이란 것도 좋았는데
스토리도 너무 재미있어서 행복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영훈은 한반도에 마지막 남은 북과 남의 싸움터가 연방수사국이겠다는 생각을 했다. (....) 하지만 상세히 알게 된 누군가를 증오할 수 있을까. 잘 안다면, 더 이해하게 되지 않을까. 증오는 무지에서 발현되는 게 아닐까. -p126
🔖당신들은 몰라. 정말이지 아무것도 모르지. 가장 컴컴했던 그 시절 빛 한 조각조차 사치였던 그 무렵의 평양을. -p181
🔖어쩌면 이 모든 게 비참한 꿈일지도 모르지. 하지만 꿈이야말로, 인간을 거인으로 만든 원료 아닌가. -p192
🔖어두운 창 밖, 바람 거센 저 바깥을 바라보며 영훈은 그 옛날 북조선을 떠올렸다. 여기 평양의 모두는 무지개를 그리며 강철로 된 세월을 견뎌왔겠지. 그 엄정한 차가움을 여리디여린 희망으로 녹여내며, 겨우. -p262
#채성모의돈에잡히는독서 서평단을 통해
#팩토리나인 으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철로된무지개#이중세#팩토리나인#미스터리소설#스릴러#하드보일드#북스타그램#K스토리공모전#한국소설#채손독
그와 동시에 영훈은 한반도에 마지막 남은 북과 남의 싸움터가 연방수사국이겠다는 생각을 했다. (....) 하지만 상세히 알게 된 누군가를 증오할 수 있을까. 잘 안다면, 더 이해하게 되지 않을까. 증오는 무지에서 발현되는 게 아닐까 - P126
당신들은 몰라. 정말이지 아무것도 모르지. 가장 컴컴했던 그 시절 빛 한 조각조차 사치였던 그 무렵의 평양을 - P181
어쩌면 이 모든 게 비참한 꿈일지도 모르지. 하지만 꿈이야말로, 인간을 거인으로 만든 원료 아닌가. - P192
어두운 창 밖, 바람 거센 저 바깥을 바라보며 영훈은 그 옛날 북조선을 떠올렸다. 여기 평양의 모두는 무지개를 그리며 강철로 된 세월을 견뎌왔겠지. 그 엄정한 차가움을 여리디여린 희망으로 녹여내며, 겨우 - P2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