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던 대로나 잘 하라고? - 미어캣에게 배우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기술
존 코터.홀거 래스거버 지음, 유영만 옮김 / 김영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조직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중대한 문제에 대해 다룬다고 한 소개 글처럼,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조직이 어떻게 성장하는 지 이해하고 개인과 기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우화의 장점을 이용하여 보다 분명하고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구성한 책이다.

 

나디아의 훈련 중 질문에 항상 경험은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해주던 책임자의 일률적인 말은 대부분의 질문자들에게도 반발심과 답답함을 주는 말이다.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의견은 곡 필요하지만 검토 없이 무조건 시도해서는 안된다는 말도 약간 보수적으로 느껴진다. 모든 조직 구성원은 그 안의 규칙과 절차를 따라야하기 마련인데, 일단 무조건 따르라는 암묵적인 압박으로 느껴지면 더욱 거부감이 들 것이다.

 

조직이 유지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전체의 이익을 위한 발전적인 모습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나디아의 변화된 모습을 보면서, 계획과 절차와 관리 등 구성원들을 통제할 규칙이 필요하다는 경비대 수장 니콜라스의 설명이 납득이 간다. 그렇지만 보초 임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튼튼한 나무를 발견한 에이요의 성과는 저평가되고, 자기 자리를 떠났던 일 즉, 경비 절차를 어긴 일에 대해서 처벌을 받아야 하는 것은 부당하게 느껴진다. 아무리 원칙이라 하더라도 구성원의 사기를 꺾는 것은 조직 운영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들에게 위기가 닥쳐오고 나름대로 열심히 대처해 보지만 긴장된 분위기는 계속되고, 기존의 계획과 규정대로 실행해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서로를 믿지 못하고 혼란한 상황만 반복될 뿐이다.

 

엉망이 되었다고 느껴 무리를 떠나 다른 무리를 발견하게 된 나디아와 에이요 그리고 매트. 소규모의 무리였지만 회의를 하면서 활발하게 논의를 진행하는 모습, 먹이를 공유하고 개인이 아닌 모두의 이익을 위해서 먹이를 구하려 하니 스스로 더 많은 먹이를 구하게 되는 모습, 누구도 다른 이에게 명령할 권리는 없다는 평등 의식, 책임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누구나 배울 수 있는 등 열린 마인드의 발전적인 공동체의 모습이다.

 

관리자나 구성원들이 마지못해 자신의 역할을 대충 행하고 일이 잘못되었을 때 변명하기에만 급급해 한다면, 그들 모두 업무에는 집중하지 않고 조직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곳이 되어버려서 결국 붕괴하고 말 것이다.

 

조직이든 사회든 서로 지켜야할 규칙과 질서를 지키면서 관리자들은 함께 발전하도록 이끌어주고 조직원들은 각자 소임을 해내는 것이 이상적인 조직의 형태라고 이제까지 배웠다면, 위기 상황에서 극복해낼 능력을 갖추도록 서로 도우며 발전하는 조직이 이상적인 조직이라는 것을 미어캣 사회를 엿보며 배울 수 있었다.

 

(김영사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