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화사들 - 우리가 만난 날의 기록 계회도, 제4회 한우리 문학상 청소년 부문 당선작 한우리 청소년 문학 4
윤혜숙 지음 / 한우리문학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도화서에 소속되지 않은 화가를 뜻하는 화사. 좀처럼 접하기 쉽지 않은 조선시대 화사들의 삶의 모습도 엿볼 수 있고, 조선시대 추리물이라는 점이 독특하고 색다르게 느껴진다.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과 단어들이 많은데, 청소년 독자들에게 문맥 파악 능력과 어휘력 향상 등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생전에도 별다른 정을 느끼지 못했기에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억울하거나 진실을 알고 싶은 마음도 없는 주인공을 처음엔 이해하기 어렵다. 진수도 그의 어머니도 오히려 인국을 아버지처럼 의지하고 따랐기에 그의 살인범 누명이 억울하여 잊고 싶었던 아버지 사건을 알아보기 시작하는 상황부터 아이러니하다.

돈 되는 그림은 마다하고 그림이 뭔지도 모르는 무지렁이들의 모임을 쫓아다니며 계회도를 그리면서 화사대접도 제대로 못 받던 아버지가 미웠던 진수로서는 그림 솜씨에 대한 칭찬이나 부전자전이라는 말들이 귀에 들어오지도 않는 건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채 종결되었던 살인 사건을 다시 조사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아버지가 그렸던 계회도의 행방과 내용이 전개될수록 밝혀지는 그림과 권력의 관계 등의 이야기들 속에서 예술가들의 고뇌들도 엿보인다.

 

제 몫도 못 챙기는 한심한 아버지로 여겼기에 그처럼 살지 않겠다는 생각은 강하지만 어떤 사람이 되고 싶으냐는 최 훈장의 물음이 이상하게 들릴 만큼 자존감은 낮은 상태의 진수가 안타까웠지만 아버지의 참모습을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많은 것들을 깨닫게 되고 한층 성숙해지는 모습을 보며 청소년 독자들의 마음도 한창 성장하지 않을까 싶다.

 

민란이 자주 발생하고 매관매직이 비일비재했던 순조 시대를 배경으로 김홍도, 윤두서, 안견 등 유명 화가들도 언급되는 등 역사적 지식들도 접할 수 있다. 추리소설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어 수상한 인물들 중에서 진짜 범인은 누구일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책장을 넘기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

 

권력과 타협하여 부와 명예를 누리는 사람들은 인간 사회에서 늘 존재하기 마련이다. 힘없고 가난하더라도 타협하거나 굴복하지 않고 당당하고 꿋꿋하게 살아갈 수 있는 가치관과 용기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청소년 독자들도 세상사에 대한 이치도 어렴풋이 깨달아 질 것 같다.

 

(한우리 문학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