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 - 21세기 빈곤 없는 사회를 위하여
앤디 스턴.리 크래비츠 지음, 박영준 옮김 / 갈마바람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술의 발전이 인간에게 주는 혜택은 어마어마하지만 이에 수반하는 일자리 감소와 계층 간의 격차라는 경제적 위기 상황도 이미 심각한 수준이다.

우리 아이들이 곧 맞닥뜨릴 미래의 일자리 문제와 기본소득에 대한 책을 쓴 저자가 직접 미국 최대 서비스노동조합을 이끌며 오랜 세월 노동운동에 헌신한 노동조합의 리더였다는 사실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저자는 미국의 저명한 경제 전문가, 실무자들을 차례차례 만나 현재 직면한 경제 문제와 미래 전망, 해결책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현학적이거나 어려운 경제 용어가 없어 누구나 술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저자가 말한 대로 이 책을 쓴 이유가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들이 어떻게 직업, 노동, 그리고 경제에 영향을 주는지, 대다수 미국 가정이 이런 현상을 얼마나 절실하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대중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단순함이라면 이 책은 아주 훌륭하다. 앞으로 닥칠 미래를 아무런 준비 없이 맞을 수만은 없는 우리는, 저자의 기본소득에 대한 주장과 또 다른 여러 가지 방안들을 곱씹어보며 현재 운용되고 있는 여러 부문의 정책들부터 하나하나 세심히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책의 많은 부분을 자신의 경력과 업무에 관한 설명과, 앞으로 놀랄 만큼 발전할 첨단기술로 인해 미래에 어떤 참담한 현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지, 또 자신과 인터뷰한 저명한 인물들에 대한 친절한 이야기로 채워 넣어 정작 (나를 포함한) 독자들이 궁금해할 1인당 연 12000불에 달하는 기본소득과 그 금액을 책정한 이유, 그리고 재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로 밀려나고 축소된 느낌이라 약간 아쉬운 면이 있다.

지금 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사회가 직면한 노동력의 과잉, 양극화 문제는 일자리를 잃고 가족을 부양하지 못하거나 정상적인 직업을 찾지 못한 사람들의 잘못이 아니라 이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라고, 개인의 잘잘못을 탓할 일이 아니라고 말해주는 작가의 한 마디가 와닿는다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