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민족 기문둔갑 증보 홍연진결
서미선 지음 / 부크크(bookk) / 2024년 11월
평점 :

한민족 기문둔갑 증보 홍연진결을 완역을 하신 서미선 선생님께서 도사폰 기문둔갑 설정을 알려주셔서 공유를 하게 되어 깊이 감사드립니다.
1. 기문 삼원국 계산방법 – 초신접기법
2. 기문 직부팔신(장) 포국법 - 시 순수를 지반에 부함
3. 기문 중궁오토일 경우 - 6을 건궁으로 출 (학선 류래웅 선생님께서는 6 감궁으로 출하신다고 하십니다.)
4. 기문 천봉구성 시순수 중궁일 경우 - 시순수 중궁인 경우만 중궁의 천금성을 사용
5. 홍국수 육친표시 - 지반수 육친만 표시
6. 육친 표시방법 - 일반 육친으로 표시
7. 기문둔갑 신살 표시여부 - 기문둔갑 신살 표시함
8. 12신살중 년살/화개살 처리방식 - 년살/화개살을 지반수리에 붙임
9. 홍국수리와 육의삼기 좌우위치 - 좌측 육의삼기 우측 홍국수리
10. 기문평생국 행년(유년대운)계산방법 - 양음둔과 건곤명 구분안함
11. 기문평생국 소운 표시여부 - 소운표시 함
12. 기문시간국 홍연국 표시방법 - 시간국에 홍연국 모두 표시
13. 기문시간국 공망선택 - 시주기준 공망표시
14. 기문 사간궁 표시방법선택 - 지반 육의삼기에 부함
15. 기문 십이운성 표시방법선택 - 양둔순행 음둔역행,궁위에 부함
16. 기문 신수 월포국 방법 - 년월일시 전체 포함 포국
17. 기문 신수 일포국 방법 - 년월일시 전체 포함 포국
18. 홍국수리를 지지로 변환표시 여부 - 지지로 변환하여 추가표시함
19. 홍국수리를 글자/숫자 선택 - 수리를 글자로 표시
20. 홍국수 강약표시 선택 - 거수승(居受承)순으로 표시
21. 홍국수 강약계산시 거(居)의 계산기준 - 구궁팔괘의 오행기준
22. 홍국수 강약계산시 승(承)의 계산기준 - 월지의 오행을 그대로 사용
23. 괘문성의 배열순서 선택 - 일가팔문.태을.팔괘.직부.천봉.시가팔문
24. 기문 공망의 표시방법 선택 - 기호로만 공망표시
25. 기문 총공망 계산방법(겹동그라미 표시) - 중국지반수리에 해당되는 음양오행을 가진 지지가 있는 궁이 공망인 경우
26. 기문 거공망 계산방법(동그라미와 점) - 각 궁의 지반수리와 소속지리의 음양오행의 변환수리가 같은데 공망인 경우
27. 기문 괘문성의 표시여부(모두 체크 해주세요) - 일가기문 표시, 태을구성 표시, 팔괘 표시, 직부팔신 표시, 천봉구성 표시, 시가팔문 표시
서미선 선생님께서 완역의 성과를 이루실 수 있었던 것은 학선 류래웅 선생님의 깊은 가르침과 헌신적인 지도 덕분입니다. 두 분의 노력과 열정이 있었기에 완벽한 번역이 가능했습니다. 존경과 감사를 담아 최고의 찬사를 보냅니다!